본문 바로가기
영어공부/원서 읽기

[37주차] Disorders of Personality: 10. Reliable Styles, Constricted Types, Compulsive Disorders: The RCC Spectrum(pp. 512-517)

by 오송인 2021. 12. 31.
반응형

이번 주 분량 읽으면서 카렌 호나이가 자기비난에 관해 설명해 놓은 것이 떠올랐습니다. 스스로가 지닌 당위나 룰을 지키지 못했을 때 자기비난이 강해지게 되는 것은 그만큼 이상화된 자기상을 보호하려는 동기가 강하기 때문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고, 신체 증상 등을 통해 자기처벌적인 속죄가 이뤄지는 것 같기도 합니다. 속죄를 함으로써 다시금 완벽한 자기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 같고요. RCC에서 부모상을 내사하면서 규칙이나 경계를 벗어나지 않고 확실하게 보장된 길만을 추구하는 것 역시 실패할 수도 있는 새로운 방식을 시도함으로써 자기상이 손상될 가능성을 미연에 차단하려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여러모로 밀론의 설명과 호나이의 설명이 중첩되는 부분이 많다고 느꼈어요. 겉으로는 유능해 보이지만 완벽한 자기상을 붙들려는 시도가 강한 만큼 스스로가 느끼는 무능감이 크겠구나 공감되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과잉통제하는 방식의 양육은 아이가 자신의 취약성을 자기 일부로 받아들일 수 없게 만들고 허구의 완벽한 기준을 좇게 하면서 삶을 병리적으로 만들 수 있음을 배웠고요.

 

더보기

It is probable that feelings of guilt and self-condemnation have become prominent features, and he may impose punitive judgments on himself as a form of symbolic expiation.

 

분노 표출과 표출했을 때의 humiliation에 대한 두려움이 만성적 긴장 상태를 야기하며 두통이나 위장 증상 같은 신체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음.

 

Although conscientious in fulfilling his work and other responsibilities, he may have begun to feel intense self-doubts and concerns about his security and his ability to depend on others. -> 피로, 불면, 복부 통증 + 사회적 굴욕이나 인정받지 못하는 것에 대한 염려를 비롯하여, 전반적으로 걱정이 많음.

 

His growing expressions of self-recrimination may serve to deflect(비껴가게 하다) the severe reproaches that he fears his behavior deserves. + 다른 사람의 동정도 얻을 수 있음.

 

PATHOGENIC DEVELOPMENTAL BACKGROUND

 

Hypothesized Biogenic Factors

증거가 적다,

 

Chracteristic Experiential History

 

Parental Overcontrol by Contingent Punishment

DAD에서는 과보호하는 부모 RCC에서는 과잉통제하는 부모, 반사회나 가학성 성격의 발달적 배경에서와 다르게 일관된 처벌. SPH에서는 잘한 행동에 대한 칭찬이 비일관되게 주어지고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는 처벌되지 않는 경향이 우세한 데 반해, RCC에서는 처벌이 일관되게 주어지고 칭찬보다 처벌의 비율이 높음. RCC는 무엇을 하지 말아야 하는지 배우고 SPH는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배움. RCC는 무엇을 할 수 있는지(wht they can do)에 대해서는 배울 기회가 적음.

 

발달의 second stage에 자율성 발달시키지 못하고, 자기자신에 adequacy 의심하게 됨.


자신감이 없고 부모의 분노가 두려우니 자신의 욕구나 충동을 숨기고 부모가 제시하는 룰을 따르며 의존하게 됨. DAD와의 차이는, DAD가 사랑과 수용을 얻기 위해 의존하는 것이라면 RCC는 처벌의 불안과 거절의 공포를 피하기 위해 부모가 제시하는 path의 boundary 벗어나지 않는 식으로 의존.

 

발달의 third stage(사춘기)에 RCC는 애어른이 됨.(..proceed at an accelerated pace toward adulthood.)

 

결과적으로 발달 과정에서 RCC가 배우게 되는 세 가지

  • 부모의 요구를 따르고 비난을 피하기 위해 동기화됨
  • 부모상과 동일시 -> 자기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에 대한 관대함이 부족하게 됨
  • 유능감을 경험하는 영역이 좁고, 규칙이나 경계를 벗어나 새롭거나 예측할 수 없는 이벤트를 다루는 데 무능한 면모를 보일 수 있음.

 

관련 글)

 

2020.12.31 - [영어공부/원서 읽기] - [9주차] Neurosis and Human Growth: 5. SELF-HATE AND SELF-CONTEMPT(pp. 130-141)

 

[9주차] Neurosis and Human Growth: 5. SELF-HATE AND SELF-CONTEMPT(pp. 130-141)

자기혐오의 세 번째 표현형은 자기경멸입니다. 앞서 설명한 자기비난과 구별이 어렵지만, 자기경멸에서는 향상이나 성취를 향한 어떤 분투라도 저지된다는 데 더 방점이 찍히는 것 같습니다.

slowdive14.tistory.com

2020.12.24 - [영어공부/원서 읽기] - [8주차] Neurosis and Human Growth: 5. SELF-HATE AND SELF-CONTEMPT(pp. 118-129)

 

[8주차] Neurosis and Human Growth: 5. SELF-HATE AND SELF-CONTEMPT(pp. 118-129)

이번 주 리딩 분량에서는 자기혐오의 여섯 가지 유형 중 자기자신에 대한 가혹한 요구와 무자비한 자기비난 두 가지를 다룹니다. 가혹한 요구는 3장에서 상세히 설명된 당위의 

slowdive14.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