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신체화변인이 매개로 들어갔는지 논리를 펴려면 PTSD 집단에서 흔히 나타나는 다른 psychiatric symptoms에 대한 통제가 필요하지 않겠느냐는 교신저자의 합당한 의견을 수용함. 현재 발표 준비 중인 논문도 비슷한 내용임.
Psychiatry Res. 2014 Aug 15;218(1-2):148-52. doi: 10.1016/j.psychres.2014.03.038. Epub 2014 Apr 3.
Somatic symptom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reatment-seeking Canadian Forces personnel with PTSD.
St Cyr K, McIntyre-Smith A, Contractor AA, Elhai JD, Richardson JD.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somatic complaint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treatment-seeking Canadian military personnel with military-relat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Current and former Canadian Forces (CF) members attending the Parkwood Hospital Operational Stress Injury Clinic in London, Ontario (N=291) were administered self-report questionnaires assessing number and severity of somatic complaints, PTSD and depressive symptom severity, and mental and physic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prior to commencing treatment.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identify the role of somatic complaints on physical and mental HR-QoL, after controlling for PTSD symptom cluster and depressive symptom severity. Somatic symptom severity accounted for only a small amount of the variance in mental HR-QoL after accounting for PTSD symptom cluster and depressive symptom severity, but accounted for a larger proportion of the variance in physical HR-QoL after accounting for PTSD cluster and depressive symptom severity. Understanding the role of somatization in the symptom-presentation of military personnel with PTSD may provide additional avenues for treatment with this population.
Copyright © 2014 Elsevier Ireland Ltd. All rights reserved.
KEYWORDS: Major depressive disorder; Military;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 severity
서론이 정말 이상하다. 논리가 없어.
PTSD를 지닌 군인을 표본으로 했다고 하는데 진단을 내린 것도 아니고 자기보고 설문지를 사용한 것이고 그나마 절단점 이상 되는 사람만 스크리닝한 것도 아니다. 이런 식이면 PTSD를 지닌 군인을 표본으로 사용했다고 써 놓으면 안 되지.
그리고 PTSD를 지닌 사람이 신체 증상을 빈번하게 호소할 것이다라는 말을 버젓이 가설로 써놨으나 대조군이 없다. PTSD로 선별된 사람과 아닌 사람에서 정말 차이가 나는지 비교를 하든가. 신체화 측정에 사용된 PHQ-15는 본인들도 써 놓았듯이 신체화 증상 심각도 평가 도구지 빈도 평가 도구라고 보긴 어렵다.
또 서론에서 PTSD와 신체화의 관련성에 대한 근거를 쭉 말했는데 가설과 결과는 신체화와 삶의 질의 관련성에 대한 것이다. 뜬금포도 이런 뜬금포가.
저널 if가 3점대인데 왜 이런 허접한 논문이 실린 건지.
저자의 의도를 이해해 보려고 노력한 4시간이 아깝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