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상심리학/상담 및 심리치료

첫 회 면접

by 오송인 2018. 11. 19.
반응형

1. 분위기 조성


내담자의 현재 상황.

-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분명히 알지 못한다.

- 상황이 개선되지 않을까 봐 두려워하고 있다.

- 친구나 가족을 불편하게 할까 봐 염려한다.

- 무엇을 해야 할지에 대해 혼란스러워한다.

- 잘 알지도 못하는 사람(상담자)에게 이야기한다는 것을 불안해 한다.


내담자는 이러한 불안 때문에 방어적인 태도를 취하는데, 이는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며 또한 타당하다. 


첫 면접에서 분위기가 조성된다. 무비판적, 우호적, 공감적, 개방적, 따뜻하지만 전문적인 분위기가 바람직하다. 우호적이고 수용하는 태도를 표현하는 것이 바로 상담자가 해야 할 과제임.


또한 내담자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고 그들 스스로가 해결점 도달에 필요한 자원을 가지고 있다는 희망을 가져야 한다. <-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지 않을까.. 그런 경우라면? 즉 변화 불가하고 해결될 수 없는 문제를 지닌 경우라면..


'당신은 상담이 긴장되는가 보군요. 상담은 대체로 사람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우리는 당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함께 찾을 것입니다.' <- 마냥 낙관적 태도를 전달하는 것이 능사는 아니겠지만 이런 희망적 태도를 견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데 동의함.


2. 첫 만남 다루기


자기소개, 전화통화, 대기실에서의 만남, 상담실에서의 대화 모두에서 상담자는 내담자와 관계를 형성하려는 전문가적인 의지를 전달하는 것이 좋다.  <- 상담에서도 상담자에 관한 내담자의 첫 인상이 매우(X100) 중요함.


3. 기대의 조정


상담자는 첫 회기에서 무엇을 기대해야 하는지 이해하도록 내담자를 도와줄 필요가 있다 <- 내담자에게 첫 상담은 다소 불안하고 긴장되는 자리일 수 있음. 첫 회기에서 무엇이 진행될지 회기 초기에 알려주는 것이 내담자에게 도움이 됨. 1) 회기 진행 시간, 상담의 규칙(비밀보장, 취소 규칙, 비용 등) 등을 알려주고, 2) 어떤 도움이 필요한지 물어봄. 3) 최근 겪었던 일에 관해 들어봄. 4) 놓쳤거나 잘못 이해한 것이 있다면 알려주길 바란다고 언급하며 내담자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할 것임을 알림.


4. 호소 문제의 구체화


왜 지금인가? 어떤 증상을 경험하는가? 어떤 문제로 작업하기를 내담자가 원하는가? 


상담자는 내담자가 말한 사소한 것을 조합해 상담자가 작업할 수 있는 문제로 재구성함. 이러한 작업은 상담 목표 설정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여 이후 탐색을 위한 기회를 가지는 것임을 염두에 두어야 함.


5. 감정 탐색


첫 만남에서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감정 표현의 기회를 주는 것이 중요함. '그 일에 대해 어떻게 느끼나요?'


내담자 감정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상담자가 적극적으로 표현할 준비가 돼 있어야 함. 공감의 전달과 상담의 진전이 밀접한 관계가 있음. 그런데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상담자가 이해하는 바를 기술하고 전달하는 중에 놓친 것이 있다면 내담자에게 상담자의 반응을 수정할 기회를 주는 것임. '제가 제대로 이해했나요?'


6. 주요 주제에 대한 동의


상담 10~15분 남겨 놓고 상담자는 자신의 판단 기준에 따라 내담자의 문제를 간략히 요약함. 이에 대한 내담자의 피드백을 들음.


문제 해결에 대한 대안을 '포괄적'이며 '일반적'으로 제시(108쪽).


---여기서 끝나면 좋겠지만, 첫 회기에 상담 목표 및 계획 설정까지 하라고 나와 있음. 유료 상담 셋팅에서는 한 번 오고 안 오는 내담자가 전체 내담자의 절반이기 때문에 첫 회기에 모든 것을 보여줘야 한다는 상담사들의 말을 되새기게 됨.--


7. 상담 목표 및 계획 설정


목표는 기대하는 결과가 분명하게 드러나는 방식으로 진술. '당신은 어떤 변화가 있으면 상담이 종결되었다고 알게 될 것 같습니까?'

목표는 상담자와 내담자의 동의하에 설정. 

목표는 현실적인 것이어야 함.

목표는 달성이 가능한 것이어야 함. 


목표의 예.

사회적 지지 증대시키기: 그녀는 취미생활을 함께하기 위해 전화할 수 있는 사람을 네 명 가지게 될 것이다.

불안 줄이기: 그녀는 더 이상 캔디를 먹지 않아도 되며 두려움을 느끼지 않고 하루를 지낼 수 있다.

염려 줄이기: 그녀는 걱정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인지-행동적 전략을 개발한다.

업무상 스트레스 줄이기: 그녀는 자신이 필요할 때 다른 사람의 부탁을 거절할 수 있도록 자기주장 기술을 개발한다.


각 목표의 계획을 수립함. 사회적 지지 증대라는 목표에 관한 계획의 예.

1) 그녀에게 새로운 야외활동을 네 개 정도 선정하게 한다.

2) 그녀가 좋아하는 야외활동에 함께할 사람 네 명을 선정한다

3) 야외활동에 대한 분명하고 구체적인 계획을 세운다

4) 선택한 활동을 실험적으로 해 본다.

5) 실험해 본 결과를 평가한다.

6) 다른 대안에 대한 계획을 세운다.


8. 마무리


첫 회기에서 무엇을 했는지 검토하고 앞으로 할 일을 계획하며 질문이 없는지를 탐색함.


상담에서 하는 일과 목표에 대해 내담자가 좀 더 분명하게 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뿐 아니라 내담자의 '무력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단기 목표를 먼저 내담자가 선정하게 하고 상담을 지속하면 다른 전체적인 목표를 다루어 나감.


첫 회기에 내담자가 호소하는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여 내담자와의 협의하에 상담의 목표를 설정하려면 더 많은 경험이 필요할 것 같다. 


그런데 경험을 많이 쌓더라도 상담 목표 및 계획 설정이 이렇게 아귀가 딱딱 맞게 떨어지는 경우가 있을까 싶다. 내가 상담 받을 때도 내 상담자는 목표 설정 같은 것을 하지 않았다. 내 상담자가 어떤 이유로 목표 설정을 안 하고 가는지 물어볼 걸 그랬다. 다른 상담자는 첫 회기에 목표 설정을 어떻게 하고 있을까? 옵저베이션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드물다는 게 안타깝지만, 언젠가는 할 기회가 있기를 바라며. 


ref)

상담 및 심리치료 기본기법 제3장.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