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공부/원서 읽기

[The First Interview] Chapter 5. History of the Present Illness

by 오송인 2019. 10. 28.
반응형

The Present Episode


모든 삽화에 관해 알면 좋겠지만, 인터뷰 시간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우선 현재 삽화에 초점을 맞춰야 함.


특정 정신장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증상 및 징후들에 관한 지식이 머릿속에 체계적으로 있어야 인터뷰할 때 환자가 말하는 삽화의 내용이 어떤 정신장애 범주에 속할지 가설을 세워볼 수 있음.


Describing Symptoms


증상에 관해 환자로부터 '배우는' 자세로 임함. 증상에 관해 가장 잘 아는 것은 환자 본인이기 때문임. 


증상의 구체적인 내용, 발생 빈도, 심각도, 한 번 발생했을 때 지속되는 기간, 변화 양상, 증상에 연관되었을 법한 환경적 요인들에 관해 가능한 한 자세히 파악함.  


Vegatative Symptoms


생장 증상은 수면, 식욕, 몸무게 변화, 에너지 수준, 성적 관심 등을 포함함. 증상의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하더라도 증상 심각도를 가늠할 수 있는 유용한 진단적 지표이기 때문에 모든 환자에게 루틴하게 물어볼 필요가 있음. 정상적으로 기능하던 때와 현재가 어떻게 다른가?


수면

- Hypersomnia? Insomnia? 후자라면 수면 개시 / 유지 / 종료 중 어떤 문제인지 파악해야 함. 


식욕과 몸무게

- 삽화 기간 동안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음. 

- 여성의 경우 몸무게를 밝히는 것이 어려운 일일 수 있기 때문에 제 경우에는 답하기 싫으면 안 해도 된다고 미리 언질 줘서 안전감 느낄 수 있게 합니다. 다만 최근에 옷이 헐거워졌는지 아니면 예전에 비해 끼는지 정도는 우회적으로 물어볼 수 있겠죠.


에너지 수준

- 피로감을 호소하는지. 피로감으로 인해 직장, 학업, 취업 등에서 어려움을 경험하는지.  배변 활동과 같은 다른 신체 기능에 관해서도 물어보는 것이 좋음. 우울증이 심한 경우 변비를 경험하기도 함. 물론 약물 side effect 때문일 가능성도 고려해야 함.  


매일의 기분 변화

- 예를 들어, 우울이 심하면 아침에 가장 기분이 좋지 않고 저녁에 상대적으로 괜찮은 편일 수 있는 데 반해 경미한 우울을 지녔을 때는 아침에 기분이 좋고 저녁에 안 좋을 가능성이 있음.

 

성적인 관심 및 성관계

- 성기능은 환자가 경험하는 웰빙과 관련이 높음. 환자의 성생활에 변화가 있는지 물어볼 필요가 있음. 

- 하지만 제 생각에 환자의 나이나 성별, 성적 지향을 고려하여 그에 맞게 질문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질문을 했을 때 환자가 안전감을 느낄지 여부를 고려하는 게 최우선입니다. 


Consequences of Illness


- 증상이 각각의 영역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야 함. 즉,  사회적 영역 / 학업 혹은 직업적 영역 / 가족 환경 . 정신장애 진단을 내리려면 증상이 이러한 영역들에 미치는 역기능적 영향이 분명해야 함.

- 당연한 얘기지만, 환자 보고뿐만 아니라 보호자 보고를 참고하는 것이 보다 객관적이고 입체적인 그림을 그리는 데 중요할 수 있음.

- 증상으로 인한 변화에 관해 환자 스스로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 주관적 경험을 확인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함. 

- 환자가 증상을 그리고 증상으로 인한 변화를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 잘 들어야 환자를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무미건조하고 환자에게 별 도움이 되지 않는 심리학적 평가 결과를 내놓기 쉽습니다. 저도 잘 안 될 때가 많아 늘 의식적으로 노력하는 부분입니다.

  

Onset and Sequence of Symptoms 


- 증상이 발생한 시점과 경과(예, 증상의 fluctuation)에 대해 파악해야 함.

- 가령, 알코올로 유발된 정신병인지 만성적인 조현병인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정신병적 증상이 발생한 시점을 가늠할 수 있어야 합니다. 과도한 알코올 사용이나 금단 기간 중에만 정신병적 증상이 발생하고, 청소년기나 성인기 초기에 조현병을 시사할 만한 증상들도 보고되지 않는다면 조현병은 배제할 수 있겠죠. 물론 임상에서 만나는 환자들은 이렇게 단순한 히스토리를 지닌 경우가 드뭅니다. 


Stressors


- 증상 발생과 연관이 있어 보이는 스트레서들을 확인함.

- DSM 제일 뒷편에 나와 있는 9가지 변수를 고려합니다. (Access to health care service / Economic / Educational / Housing / Legal system / Occupational / Social environment: 친구의 죽음, 혼자 살게 된 상황, 사회적 고립 등등 / Support group: 가족의 죽음, 이혼이나 별거 재혼 등등 / Other: 재난, 전쟁, 사회적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된 상황 등등)

- 증상과 관계가 있어 보이든 없어 보이든 간에 지난 1년간 환자에게 발생한 환경적 변화를 상세히 파악해 놓으면, 추후에 모든 정보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각각의 환경적 요인의 중요성이나 영향력을 가늠하는 데 도움이 됨.

- 어떤 환경적 변수도 파악하기 어려울 때는 '왜 이 환자가 지금 정신과를 찾았을까?'에 대한 답을 궁리해 보는 것이 도움이 됨. "이번에 병원에 오게 된 이유가 무엇인가요?"라고 직접적으로 환자나 보호자에게 물어볼 필요가 있습니다.


Previous Episodes


- 과거 삽화 유무를 확인함. 과거 삽화가 있었다면 완전히 회복됐는지? 잔여 증상이나 성격적인 변화가 있었는지? 

- 또한 과거 삽화 발생 시 어떻게 대처했는지?(현 삽화의 심각도 가늠하기 위함. 정신과 찾아갔으나 일은 가능한 수준이었는데 현재 일이 불가한 수준이라면 삽화의 심각도 증가) 

-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답을 통해 진단 및 예후에 대한 가설을 세워볼 수 있음.

 

Previous Treatment


- 이전에 비슷한 문제로 치료 받은 적이 있는지? 치료를 안 받았다면 왜 안 받았는지? 어떤 치료를 받았는지? 치료 받은 기간은 어느 정도인지? 치료를 그만 둔 이유는 무엇인지? 약물처방을 받았는지? 약 이름이 무엇인지 아는지? (어떤 증상에 주로 어떤 약물이 쓰이는지 알고 있어야 함. 모르면 검색이라도 해보는 성실함이 필요합니다.) 약을 의사 지시대로 제때 먹었는지? 여러 치료자로부터 치료 받았다면 어떤 치료가 가장 효과적이었는지? 입원을 한 적이 있는지, 했다면 몇 번 했는지, 매번 어느 정도 기간 동안 입원했었는지? 

- 이 역시 진단, 예후, 치료적 라포 형성의 가능성 등을 가늠하는 데 중요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