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상심리학/정신병리

알코올로 인해 유발된 주요 신경인지장애(Alcohol-induced major neurocognitive disorder)와 코르사코프 증후군(Korsakoff's syndrome)

by 오송인 2020. 5. 21.
반응형

정신병적 증상, 지속되는 알코올 문제, 지남력과 기억력의 문제를 비롯한 인지기능 저하 등이 복합적으로 수반되는 데다 방어적이고 회피적인 수검 태도로 인해 검사 결과를 통한 추론의 여지가 적은 경우 보고서 작성의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다만 보호자 면담이 비교적 잘 된 경우라면 이를 토대로 감별진단을 진행해 볼 수 있습니다. 알코홀릭을 많이 보게 되는 정신과 셋팅에서는 이런 경우가 드물지 않을 수 있죠. 아래는 이러한 사례에 관한 수퍼비전 내용의 일부입니다. 개인정보를 제거하다 보니 좀 두루뭉술해진 감이 있으나 다양한 가능성을 고려하는 과정 자체를 염두에 두시면 좋습니다. 진단적 인상은 Alcohol-induced psychotic disorder 와 R/O Schizophrenia이고, 치매 가능성은 없을지 더 생각해 보는 과정입니다.

 

주요 내용 요약

1. 알코홀릭에서 인지기능 저하 가능성이 시사될 때 지능검사 점수와 병전 지능 추정치를 비교해 볼 필요가 있음.

2. 지능 검사로는 실행기능 등 다면적인 인지기능 평가가 어렵기 때문에 SNSB-II 등을 통해서 신경인지기능 평가를 진행할 필요가 있음.

3. SNSB-II 결과, 지능 저하 가능성, 보호자 면담 내용, 과거 병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알코올로 유발된 주요/경도 신경인지장애 여부를 가늠함.

4. 다른 인지 기능에 비해 기억기능만 두드러지게 저하된 양상이고 병전 지능과 비교하여 전체지능에서의 저하 가능성이 낮을 때 코르사코프 증후군을 염두에 둘 수 있음.

 


전체지능이 평균하 수준으로 나오는데도 치매 가능성을 고려해야 하는가 질문 주셨는데 좋은 질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어제도 말씀드렸다시피 지능에서 잘 나왔다 하더라도 기억기능과 실행기능 등에서 상당히 저하되는 모습을 보일 수 있습니다.

 

특히, 지능이 평균하면 비교적 양호하다고 볼 여지도 있겠으나, 지능 저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다만 학력이나 병전 직업 기능 수준 등을 고려할 때 이러한 가능성이 낮을 수 있고요.

 

입원이라는 안정적인 상태에서 기억기능, 실행기능, 시공간 기능 등을 보다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기회로 보입니다. 입원한 안정적 상태에서 평가를 해두면 설령 현재 치매가 아니라 하더라도 베이스라인이 생기는 것이니 향후 재평가 시 좋은 참조점이 됩니다. 특히 금주 안 하고 계속 입퇴원 반복하다 보면 알코올로 유발된 주요신경인지장애(severe alcohol use disorder with alcohol-induced major neurocognitive disorder)를 지니게 될 가능성도 높죠. 만성적인 알코올 사용 장애 지닌 분은 제가 생각하기에 정신병만큼이나 주요 신경인지장애에 취약하고요.

 

검사상에서 기억기능의 문제가 뚜렷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실행기능에서의 문제가 뚜렷할 가능성이 있어 보이고, 특히 어떤 목적을 이루기 위해 생각과 행동을 조직화하는 데 필요한 실행기능의 문제가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

 

지능검사에서 평균 범위(즉, 평균하 이상)고 지능 저하 가능성이 낮다면 설령 SNSB 등에서 실행기능 등의 저하를 보인다 하더라도 주요신경인지장애를 별개의 진단으로 달 만큼 인지기능 저하가 심각한 상황은 아닌 것 같고요. 인지기능 저하가 시사된다 하더라도 MCI 정도의 양상을 보이지 않을까 싶고요. 치료 잘 받으시면, 인지 기능이 저하된 상태라 하더라도 다시 회복될 가능성도 고려해야 하고요.

 

끝으로 검사상에서 기억 기능 저하와 실행기능 저하가 abnormal(7%ile 이하)한 수준이라면 코르사코프 증후군(Korsakoff's syndrome)도 의심해 볼 것 같고요(, ICD-10에서 F10.6 Mental and behavioural disorders due to use of alcohol : amnesic syndrome). 코르사코프 증후군은 DSM-IV에서 Amnestic Disorder에 들어가 있었고요. DSM-5에서는 신경인지장애에 들어가 있습니다. 코르사코프 증후군도 치매처럼 대체로 비가역적이긴 하지만(1/4 정도만 원래 수준으로 회복) 치매와 다른 점은 치매에서 semantic memory, language, praxis 모두 안 좋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 데 반해서 코르사코프 증후군은 지능이 어느 정도 유지되고 다른 인지기능에 비해 기억기능만 도드라지게 떨어진다는 거예요(그리고 때로는 실행기능도 떨어지고요). 그리고 보통 작화증이 수반되죠. 구멍난 기억을 나름대로 메우려다 보니. 기억기능 저하 양상은 보통 후향성 기억에 비해 전향성 기억이 더 심하게 손상되고, 즉각 인출과 절차적 학습 능력이 보존되기 쉽지만 지연 회상이나 최근 기억에서 문제를 보이기 쉽습니다.

 

코르사코프 증후군을 확증하려면 기억기능의 상대적 저하를 보여야 할 뿐만 아니라 간뇌를 비롯한 뇌 구조/기능에서의 이상이 MRI 등을 통해 확인이 돼야 합니다.

 

최종수정: 2020.05.21 22:4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