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출처: https://pubmed.ncbi.nlm.nih.gov/30249308/
가설 1 Compared with nonmaltreated youth, do youth with a history of maltreatment have more persistent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violence, delinquency, and substance use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이하 가설 1에 관한 연구 결과
1. 아동기 학대가 청소년기의 EB(externalizing behaviors)뿐만 아니라 성인기의 EB까지 예측한다는 결과를 종단적 데이터로 보여줌으로써 선행연구에서 이견이 있던 부분을 어느 정도 결론 내림.
다만 저자들도 연구 한계에서 지적하듯이 아동기 학대에 관한 데이터가 wave3 시점(ages 18-28)에서의 연구 참여자의 회고적 보고인 데 따른 한계가 있다고 여겨짐(예를 들어, 학대 빈도에 관한 과소추정. ..childhood maltreatment was retrospectively assessed, which may underestimate the frequency of maltreatment compared with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ies of maltreatment.).
2. 시간 경과에 관계 없이 Maltreated 집단이 Non-Maltreated 집단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EB를 보임. 이는 청소년기나 성인기의 EB 발달 패턴에서 두 집단이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으며, 13세 시점에서의 집단 간 EB 차이가 32세까지 지속됨을 의미함.
3. 13세 시점에서 나타난 집단 간 EB 차이가 언제 어떻게 시작된 것인지 sensitivity to parenting/friendship과 관련하여 파악하는 것이 조기 개입에 중요함(Understanding how and when youth are differentially sensitive to the social environment is a central topic i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and key to tailoring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youth at risk for EB.).
가설 2 Does childhood maltreatment influence later sensitivity to parenting (ranging from low to high closeness) and friendship (ranging from low to high involvement with a close friend) on adolescent EB? If so, does early maltreatment blunt or heighten later sensitivity to the social environment?
이하 가설 2에 관한 연구 결과
1. 13세 때의 perceived parental closeness가 결과변인인 violence, nonviolent delinquency, substance abuse 모두와 부적 상관을 보임. 부모의 perceived support와 emotional closeness가 EB 가능성을 낮추는 보호요인임을 입증하는 결과임.
2. 하지만 Maltreated 집단이 Non-Maltreated 집단에 비해 violence와 nonviolent delinquency 각각에서 perceived parental closeness의 보호효과가 적은 것으로 나타남. substance abuse에서는 그렇지 않았음.(이하 violence, nonviolent delinquency, substance abuse 순서대로 결과표)
-> one potential way severe and traumatic stressors such as maltreatment may lead to enduring EB over time is by blunting children’s receptivity to later protective factors such as parental closeness and warmth in early adolescence.
3. 13세 때의 Friendship involvement는 결과변인인 violence, nonviolent delinquency, substance abuse 모두와 정적 상관을 보임. EB 수준이 높은 아이들은 비슷한 EB 수준을 지닌 아이들과 어울릴 가능성이 높으니 정적 상관이 나타나는 것일 수 있음. 추후 연구에서는 Friendship involvement 측정도구를 더 세분화할 필요가 있음[...current study used a broad measure of friendship involvement (e.g., how much time spent with a friend, how often they communicate or talk about problems)].
4. Similar to its effect on sensitivity to parental closeness, maltreatment also attenuated sensitivity to friendship involvement on violence and nonviolent delinquency in early adolescence.(아래 각기 violence, nonviolent delinquency)
-> This decreased responsivity to social relationships is consistent with the adaptive calibration model (Del Giudice et al., 2011) 아래 그림 참고.
그림 출처:
https://pubmed.ncbi.nlm.nih.gov/21145350/#&gid=article-figures&pid=figure-2-uid-1
그림에서 보시다시피 severe / traumatic stress가 agonistic의 경우 responsivity를 매우 떨어뜨리는데 withdrawn의 경우는 그렇지 않음.
이러한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아동기 학대가 청소년기나 성인기 EB로 이어지는 궤적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severity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maltreatment (e.g., injuries,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뿐만 아니라 agonistic/withdrawn에 따른 responsivity 차이를 염두에 두어야 함.
가설 3 Finally, if maltreatment affects sensitivity to later parenting and peer factors, are these patterns of sensitivity particularly pronounced for youth carrying a greater number of dopaminergic “plasticity genotypes”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결과가 하나도 안 나옴.
저자들이 가설 도출의 근거로 제시한 선행연구를 한 편 살펴보면 “risk genotype”이 “non-risk genotype"에 비해 supportive한 환경에서는 positive한 결과를 산출하고 adverse 환경에서는 negative한 결과를 산출함. (https://pubmed.ncbi.nlm.nih.gov/21262038/)
긍정적으로 지각된 환경에서는 risk genotype이 sensitivity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발현되겠지만 부정적으로 지각된 환경에서는 sensitivity를 blunted되는 방향으로 발현시킬 것이라 예측했던 것 같은데, 결과가 예측한대로 나왔다 하더라도 가설 2와 어떻게 묶어서 생각해야 하는지 감이 잘 오지 않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