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상심리학/정신병리

[정신증의 로샤 평가] 10장 및 11장 발췌

by 오송인 2021. 5. 18.
반응형

10장 비논리성: 추론과 논리에서의 문제

 

우리는 이런 특정 사례에서 INCOM은 잉크반점 이미지의 지각적 현실에는 기반하지만, 이미지 내용의 개념적 현실에는 기반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검자는 두 날개, 머리, 주둥이, 다리를 합리적으로 지각하고서 그것은 부리와 날개를 가진 사람이라고 결론지었다. 여기에는 자신의 반응이 개념적 현실을 위배했는지 감독하는 능력이 작동했다는 증거가 결여되어 있다. FABCOM도 유사하게 이해할 수 있다. 잉크반점의 지각적 특징들을 연결하고 분류하는 과정에서 현실과 양립할 수 없는 잘못된 지각이 발생한다. 그래서 VII번 카드에 대한 "나비의 날개 위에 서서 걷는 사자"라는 반응은 지각적 현실이 개념적 현실을 압도한 것이다. 이 반응에서 함께 섞일 수 없는 요소들은 부적절하고 비논리적인 방식으로 합성되었다. 199

Sullivan은 병렬적 사고가 유아기(late infancy)에 나타난다고 보았지만, 많은 성인기의 사고는 서로 무관한 경험들 간에 인과성이 존재한다고 추정하는 보다 원시적인 수준은 넘어서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203

Blatt과 Ritzler는 세 가지 전통적인 사고장애 채점을 접촉경계 장해 수준에 따라 정의했다. 공간적 근접성 때문에 비논리적으로 조합되는 독립된 지각 대상으로서 우화적 조합은 무관한 사건, 경험, 대상 간의 부적절한 관계를 추측하는 처리과정을 표상하는 것으로 가정했다. 지각 대상 간의 병합이나 융합이 일어나지 않은 경우 각각은 정확히 지각되었지만 상호관계가 비현실적인 것이다. 작화증 반응에서는 외부 지각과 내부 경험 간에 경계의 붕괴가 일어났다고 언급된다. 그래서 Blatt과 Ritzler는 현실검증, 즉 내부와 외부 현상의 구분과 작화증적 사고 간의 관계를 기술했다. 마지막으로, 그들은 오염 반응이 독립적인 대상, 개념 혹은 심상 간의 경계 상실을 반영하는 것으로 가정했다. 오영됨 사고는 대상관계이론 용어에서 자기와 타인을 구분하는 잠재적인 능력의 상실을 나타낸다. 206

우화적 조합에서 작화증적 양식 경험으로 퇴행하는 것은 현실에 기반한 관계 표상을 정서가 부하된 기이한 환상으로 대체하는 것과 관련된다. 212

 

11장 사고와 언어에서의 빈곤

 

빈곤한 사고를 하는 사람은 잉크반점을 해석하지 않고, 인식하려는 쪽으로 이끌린다. 223

CS는 특수점수를 단순히 인지적 빈곤 측면을 식별하는 것 이상으로 간주했다. 대처 손상지표(CDI), Lambda, 처리 효율성(Zd)과 같은 지표도 처리 능력 및 적응 능력의 빈곤과 일상적 요구에 대해 사고하고 대응할 수 있는 심리적 자원의 부족을 반영한다. 227

 

9장부터 12장까지가 이 책의 정수 같아요. 로샤를 활용하여 장애적 사고를 감별하는 데 필요한 개념적 틀을 제시합니다. 평소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그냥 넘어갔던 로샤 반응들이 장애적 사고의 연속선 어딘가에 위치할 수도 있었겠구나 하는 인싸이트가 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