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상심리학/상담 및 심리치료

[심리도식치료] 9장 경계선 성격장애에 대한 심리도식치료

by 오송인 2021. 11. 15.
반응형

버림받은 아동, 성난 아동이나 처벌적인 부모 양식이 우세할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환자의 전체 삶 중에서 분리된 보호자 모드로 지내는 비중이 가장 크다는 부분이 새로운 배움임. 실제로 경계선 성격장애를 지녔다고 하더라도 치료 절차에 협조적인 모습을 보일 수 있음. 겉으로는 차분한 모습을 보이더라도 정서와 욕구가 분리되어 있다는 점이 분리된 보호자 양식과 건강한 성인 양식의 차이임.

 

치료자가 진심어린 관심을 주지 않는다고 환자가 느낄 때 성난 아동이나 처벌적인 부모 양식이 강화될 수 있기 때문에 치료 과정 전반에서 진실한 관심을 유지하며 환자 양식의 변화를 잘 알아차리는 것이 치료의 핵심으로 보임. 다만 치료자 스스로가 자신의 한계를 알고 그 한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제한된 재양육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한 최선이라고 여겨짐.

 



성격장애 환자와 좀 더 건강한 환자를 구분 짓는 것은 심리도식의 존재 유무가 아니라 심리도식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하는 극단적인 대처방식과 이러한 대처방식으로부터 나타나게 되는 행동 양식(mode)이다.
References심리도식치료 p. 383


양식을 인식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감정의 색조를 살펴보는 것이다. 각각의 양식은 그 자체의 특징적인 정서를 지닌다. 버림받은 아동 양식은 슬픔, 공포, 취약함, 그리고 무방비 등과 같은 길 잃은 아동의 정서를 가지고 있다. 성난 충동적인 아동 양식은-아동의 핵심 욕구를 좌절시키는 보호자에게 소리치고 공격하거나 그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충동적으로 행동하는-분개하는 아동의 정서 혹은 통제 불가능한 아동의 정서를 지닌다. 처벌적인 부모 양식의 분위기는 가혹하고 비판적이며 용서가 없다. 분리된 보호자 양식은 단조롭고, 무감동하며 기계적인 정서를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건강한 성인 양식은 강하며 사랑이 깊은 부모의 정서를 가지고 있다.
References심리도식치료 pp. 385-386


버림받은 아동 양식은 취약한 아동 양식의 다른 형태로,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에게서 흔하게 나타난다. 이 경우에는 특히 환자의 초점이 유기에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References심리도식치료 p. 386


버림받은 아동 양식에서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들은 흔히 대상 영속성이 부족하다. 이들은 양육자가 보이지 않으면 자신에게 위한을 주는 양육자의 심상을 떠올리지 못한다. 버림받은 아동 양식은 영원한 현재로 존재하며, 과거와 미래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 없고 환자의 긴박함과 충동성을 증가시킨다.
References심리도식치료 p. 386


외래로 찾아오는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들 대부분은 주된 시간을 분리된 보호자 양식 안에 있으며, 이 양식은 그들에게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양식'이다. 흔히 이들은 처벌적인 부모나 버림받은 아동 양식으로 갑자기 바뀐다. 더 이상 지탱할 수 없을 때, 이들은 지금까지 지녀온 분노를 표출하고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충동적으로 행동하면서 성난 아동 양식으로 전환하지만 이러한 경우가 흔하지는 않다.
References심리도식치료 p. 387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들이 분리된 보호자 양식 안에 있을 때, 이들은 종종 정상인처럼 보인다. 이들은 '좋은 환자들'이다. 이들은 자신이 하기로 되어 있는 일을 모두 하며 적절하게 행동한다. 제 시간에 맞추어 치료회기에 도착하고 주어진 과제를 해오며 신속하게 치료비를 지불한다. 이들은 폭발적으로 행동을 표출하지도 않고 정서의 통제를 잃지도 않는다. 사실, 많은 치료자들이 잘못 생각하여 이러한 양식을 강화한다. 문제는 이 양식 안에 있을 때 환자들이 자신의 욕구와 감정으로부터 차단되어 있다는 것이다. 스스로에게 진솔해지기보다는 자신의 정체감을 치료자의 승인을 얻는 것에 두고 있다. (중략) 분리된 보호자 양식의 징후와 증상은 이인화, 공허감, 지루함, 약물 남용, 폭식, 자기-손상, 정신신체적 불평들, '무미건조함' 그리고 로봇과도 같은 순종 등이 있다.
References심리도식치료 p. 389


모든 범위의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들에 걸쳐 심리적 건강의 관점에서 이 양식들의 순위를 매긴다면 건강한 성인 양식과 취약한 아동 양식이 가장 건강하다. 그리고 다음으로, 진정한 감정과 욕구를 경험하는 성난 아동 양식, 그 다음에는 자기 행동에 대한 통제를 유지할 수 있는 분리된 보호자 양식이다. 마지막은 처벌적인 부모 양식인데, 이 양식은 그 자체의 결점을 보충할 수 있는 장점이 하나도 없다. 처벌적인 부모 양식은 오랜 기간에 걸쳐서 환자에게 가장 파괴적이다.
References심리도식치료 p. 389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가 자살하고 싶은 충동에 사로잡히거나 자해 충동을 지닐 때, 치료자는 어떤 양식이 그 충동을 경험하고 있는지를 인식해야만 한다. 충동이 처벌적인 부모 양식으로부터 출현해서 환자를 처벌하고자 하는 것인가? 아니면 충동이 참을 수 없는 고독감의 고통을 끝내려는 소망으로, 버림받은 아동 양식으로부터 출현하고 있는가? 혹은 신체적 고통으로 정서적 고통을 분산시키거나, 무감각을 뚫고서 무언인가를 느껴보려고 노력하는 분리된 보호자 양식으로부터 나오고 있는 것인가? 아니면 다른 사람에게 복수하거나 상처를 주려는 욕망에서 성난 아동 양식으로부터 출현한 것인가?
References심리도식치료 p. 393


많은 치료자들은 실제로는 환자가 분리된 보호자 양식으로 옮겨갔을 때 환자가 개선되고 있다거나 건강해졌다고 잘못 생각한다. 환자들이 건강한 성인 양식에 있을 때, 자신들의 욕구와 감정을 체험하고 표현할 수 있다. 분리된 보호자 양식에 있을 때는, 자신의 욕구와 감정으로부터 단절된다. 그들은 적절하게 행동하지만, 이는 정서가 결여되어 있으면 자신의 욕구와 무관한다.
References심리도식치료 p. 400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들은 고통이 너무 심해지면 자살할 수 있고 고통으로부터 어떤 구원을 얻게 될 것이라는 것을 앎으로써 위로 받고자 한다. 치료자는 환자로부터 이러한 위안을 빼앗을 필요는 없다. 환자들은 필요한 만큼 자살하는 것에 대해 생각할 수 있으며 얘기할 수 있다. 하지만, 그들은 자살을 시도하기 전에 만드시 치료자에게 연락해서 자신의 느낌을 토로하는 것에 동의해야만 한다.
References심리도식치료 pp. 400-401


갈등은 항상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가 치료자가 충족시켜줄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욕구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환자는 예상컨데 치료자에게서 좌절감을 느낄 것이다. (중략) 우리의 사생활을 여전히 지키면서 그리고 소진되어버리는 희생양이 되지 않으면서, 일정 기간동안 환자의 대리부모가 되는 방법을 발견하여, 환자들의 권리와 욕구를 우리 자신의 것과 균형 맞추는 것, 이것은 치료자로서 우리의 도전이다.
References심리도식치료 p. 404


양식 추적하기: 이것이 치료의 핵심이다. 즉, 치료자는 회기에서 매순간마다 환자의 양식을 추적하고, 양식들 각각에 적합한 방략을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References심리도식치료 pp. 405-406


가능한 한 치료자는 환자로 하여금 버림받은 아동 양식에 머물러 있도록 격려한다. 이렇게 하는 한 가지 이유는 환자가 버림받은 아동 양식에 계속 있도록 하는 것이, 치료자로 하여금 환자에 대한 동정과 온정을 유발하여 환자와 정서적 유대관계를 형성하도록 돕기 때문이다.
References심리도식치료 p. 406


만일 환자가 버림받은 아동 양식 안에서 자신의 정서와 욕구들을 표현할 수 있다면, 욕구들을 표현하기 위해 성난 충동적인 아동 양식으로 건너뛸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리고 처벌적 부모 양식으로 돌변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치료자가 환자를 수용하게 되면, 처벌적 부모를 자기표현을 허용하는 부모상으로 대체하기 때문이다.
References심리도식치료 p. 408


기본적인 원칙은 치료자가 나중에 후회하게 되고 분개할 수도 있는 어떠한 것에도 동의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References심리도식치료 p. 409


궁극적으로, 자기 파괴적인 행동을 멈추게 하는 것은 처벌적인 부모와 반대로 치료자가 자신에게 진심으로 관심을 갖고 존중한다는 환자의 확신이다. 치료자가 자신을 진심으로 돌보는지에 대해 환자가 혼란스러워하는 한, 환자는 스트레스가 되는 생활 사건에 반응하여 자기 파괴적 행동들을 계속해서 실행할 것이다.
References심리도식치료 p. 41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