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rce: https://www.ship30for30.com/post/how-to-start-writing-online-the-ship-30-for-30-ultimate-guide#toc-3
author: Ship 30 Captains Nicolas Cole and Dickie Bush
How To Start Writing Online: The Ship 30 for 30 Ultimate Guide
Summary
- 글 쓰기 전에 개요부터 잡아라.
- 대제목/소제목을 적절히 활용하여 독자가 빠르게 훑어볼 수 있게 하라.
- 짧은 문장과 긴 문단을 적절히 배치하여 글의 리듬을 만들라.
Framework #4: Formatting Your Writing For Skimmability
프레임워크 #4: 독자가 글의 개요를 훑어볼 수 있게 글을 구조화하라
Here's a brutal truth that takes new Digital Writers a long time to learn:
새로운 시대의 디지털 작가들이 배워야 할 잔혹한 진실이 있다.
Readers on the Internet don't read—at first.
인터넷 독자들은 글을 읽지 않는다.
What they do is they skim. And then, once they've decided whether or not this piece of writing speaks to their interests, then they go back and start reading.
대신 자신의 관심사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글을 대충 훑어본다. 관심사와 맞으면 다시 글의 처음으로 돌아가 읽기 시작한다.
As a result, what separates content that attracts millions of readers versus content that falls on deaf ears (even if the words on the page are identical) usually comes down to formatting. If your online writing is full of big, blocky paragraphs and no subheads, readers are going to think, "Wow, this looks taxing. I have no idea what this is even about—or if it's going to be worth my time." Whereas content that alternates between big paragraphs and short, single-sentence lines, and is organized with bolded subheads makes it very easy for readers to get a sense of what the piece is about before they even start reading. V_isually_ the piece looks actionable, easy to follow, and quick to read.
수백만의 독자를 매혹하는 글과 아무도 읽지 않는 글의 차이는 구조화이다. 문단의 내용이 길고 소제목이 없는 글에 독자가 자기 시간을 쏟을 리 없다. 반면 길거나 짧은 문단(혹은 한 문장)을 오가고 볼드체 소제목으로 시각적인 구분을 명확히 한 글은 독자가 글을 읽기도 전에 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Skimmability = Readability
훑어보기 = 가독성
If your online writing isn't skimmable, it's not readable.
훑어보기가 가능하지 않은 온라인 글쓰기는 가독성이 떨어진다.
For legacy writers and "purists," this is a hard pill to swallow. Legacy writers want to believe they are the one who is important (not the reader), and that readers should adjust to their expectations. If you want to know why so few writers from the legacy world succeed on the Internet, this is why.
전통적인 작가(디지털 작가에 대비되는 의미인 듯)와 순수주의자에게 이것은 받아들이기 어려운 과제이다. 이들은 독자가 아니라 자신이 중요하고 독자가 스스로의 기대를 글에 맞게 변화시켜야 한다고 믿는다. 이러한 태도는 전통적인 작가가 인터넷에서 성공하기 어려운 이유이다.
Digital Writers, on the other hand, are masters at formatting. They understand how to present information in a way that makes it easy to understand at a glance—without "dumbing down" the content. Again, the idea here isn't to write Buzzfeed-style listicles all day long. The idea is to take your content (however complicated) and organize it in a way where readers can quickly skim, figure out what's going on, and latch onto the pieces of information that most grab their attention.
디지털 작가는 구조화에 능숙하다. 디지털 작가는 내용을 단순화하지 않으면서도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어떤 구조로 제시해야 독자들이 단번에 쉽게 이해할 수 있을지 안다. 이는 버즈피드 스타일의 글쓰기를 하라는 것이 아니다. 독자들이 글을 빠르게 훑어보고 글이 전하는 바가 대강 무엇인지 파악하며 가장 관심을 끄는 정보에 머물 수 있게 글의 내용을 구조화하라는 것이다.
So, how do you do that?
그래서 어떻게 해야 할까?
Skeleton Your Piece (Before You Write It)
글을 쓰기 전에 뼈대부터 잡는다.
The easiest way to nail formatting is to create a skeleton of your essay or article before you start writing.
구조화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글 쓰기 전에 뼈대를 잡는 것이다.
- Headline: What is this piece about? Who is it for? What will the reader get in exchange for reading through to the end? AND, why should they trust you (what's your credibility)?
- 제목: 이 글은 무엇에 관한 것인가? 누구를 위한 것인가? 끝까지 읽음으로써 독자가 얻는 것이 무엇인가? 왜 독자가 당신을 믿어야 하는가?
- Introduction: (Repeat the information from the headline with slightly more detail.) What is this piece about? Who is it for? What will the reader get in exchange for reading through to the end? AND, why should they trust you (what's your credibility)?
- 소개: (글의 제목에 함축된 정보를 조금 더 상세히 반복한다.) 이 글은 무엇에 관한 것인가? 누구를 위한 것인가? 끝까지 읽음으로써 독자가 얻는 것이 무엇인가? 왜 독자가 당신을 믿어야 하는가?
- Main Points: What "proven approach" are you using to organize this piece? (Is this piece organized by Steps, Lessons, Mistakes, Tips, etc.?) How many do you plan on including? _3 Steps? 4 Lessons? 5 Mistakes?
- 주요 포인트: 글의 핵심을 전하기 위해 사용하는 입증된 방법은 무엇인가? (단계, 교훈, 실수, 팁, 기타 등등으로 구성되어 있나?) 몇 개의 글 꼭지로 구성할 것인가? 3단계? 4가지 교훈? 5가지 실수?
- Conclusion: What's the final takeaway? What do you want readers to walk away with after reading this piece? What's the morale of the story?
- 결론: 최종적인 요지가 무엇인가? 독자가 이 글을 읽고 나서 무엇을 얻어가길 바라는가? 이 이야기의 교훈이 무엇인가?
By creating a skeleton of your piece in advance, it becomes significantly easier to know where to start.
글의 뼈대를 미리 만들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는지 쉽게 알 수 있다.
Nobody likes staring at a blank page.
누구도 빈 페이지를 바라보는 것을 좋아하지 않을 것이다.
Prep The Page: 3 Reasons Why Every Writer Should Create A Skeleton Outline Before Writing - Google Docs
역자 주: 위 링크는 상기 이미지 우측 내용, 즉 개요를 만드는 방법에 관한 구체적 예시입니다. 원문/번역문 함께 실어 공유합니다.
The 2 Most Important Uses For Subheads: Wheels & Spokes
부제목의 가장 중요한 2가지 용도: 바퀴와 바큇살
When organizing your content, there are two different types of headings you should use.
글의 내용을 구성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두 가지 유형의 제목이 있다.
- Wheels: Big headings (H1) that signify the beginning of a new overarching section.
- 바퀴: 새로운 포괄적 섹션의 시작을 나타내는 대제목(H1)
- Spokes: Small headings/subheads (H2 or H3) that separate important sections within the overarching section.
- 바큇살: 포괄적 섹션의 주요한 하위 섹션을 나타내는 소제목(H2 or H3)
Since most essays and articles online fall between the 300-800 word range, you usually don't need to use both Headings & smaller subheads (because there's only so much room). For example, in the "Prep The Page" example above, each "reason" in the article is listed out using a heading. In this case, it really doesn't matter if your headings are big (H1) or smaller (H2 or H3) because they are all fulfilling the same purpose: separating ideas.
온라인상의 글이 대부분 300-800 단어 정도이므로 보통 대제목과 소제목을 모두 사용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위에 제시한 "Prep The Page" 예시에서 각각의 "이유"가 제목으로서 제시되었다. 이 경우, 제목을 크게(H1) 표시하든 작게(H2 or H3) 표시하든 그것은 중요하지 않다. 왜냐하면 생각을 구분짓는다는 동일한 목적을 갖기 때문이다.
However, in longer-form blog posts and ultimate guides (like this piece here), it makes sense to use both to make sure readers are following your train of thought. Each major section would open with a big heading (H1), signifying the purpose of this overarching section. And then each sub-section within would be separated by subheads (H2 or H3), signifying where one idea stops and the next idea begins.
그러나 더 긴 블로그 포스트나 이 글처럼 긴 글에서는 독자가 당신 생각의 흐름을 따라올 수 있게 두 가지 형태의 제목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각각의 주요 섹션은 대제목으로 시작함으로써 이 포괄적 섹션의 목적을 강조한다. 그런 다음 각 하위 섹션은 소제목(H2 or H3)으로 구분함으로써 한 가지 생각이 끝나고 다른 생각이 시작되는 지점을 분명히 한다.
Using headings are an easy way to make your writing more "skimmable," and to also make it easy for readers to scroll and find a section that hooks their attention. If they find a section that speaks to their wants, needs, desires, or questions, that's where they are going to start reading. And if, when they start reading, they find your content valuable, insightful, memorable, etc., they that's when they are going to scroll back to the beginning and start reading.
제목을 사용하는 것은 글을 보다 쉽게 훑어볼 수 있게 하는 손쉬운 방법이고, 독자가 화면을 스크롤하다가 자신의 주의를 사로잡는 섹션을 발견하기 쉽게 한다. 독자가 자신의 욕구, 필요, 바람, 질문에 꼭 들어맞는 섹션을 발견한다면 거기서부터 읽기 시작할 것이다. 읽으면서 글의 내용이 가치 있고 통찰을 담고 있으며 기억할 만하다고 여길 때, 다시 글의 처음으로 돌아가서 읽기 시작할 것이다.
Here's what Wheels & Spokes look like in action:
바퀴와 바큇살의 실제 구조는 아래와 같다:
Lists, Bullets, and Bolded Sentences
목록, 글머리 기호, 굵게 표시된 문장
Ah, but the fun has just begun.
아, 재미있는 부분은 지금부터다.
Once you have your essay or article (or book) organized in Wheels & Spokes, you can then start adding decorations: lists, bullets, bolded sentences, italics, etc. These smaller lists make it even easier for readers to quickly get an idea of what you're writing about and, more importantly, what's in it for them.
바퀴와 바큇살로 에세이나 아티클 (혹은 책)을 구조화했다면 목록, 글머리 기호, 굵게 표시된 문장 등을 통해서 글을 꾸밀 수 있다. 이런 작은 목록을 통해서 독자는 당신이 전하려는 생각이 무엇인지, 그리고 보다 중요하게는, 이 글이 독자에게 어떤 도움이 되는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For example, anytime you find yourself writing a paragraph that is "listing" things out, it's worth questioning whether that paragraph can be re-formatting in the form of a bulleted list. "The first thing you want to do when writing online is prep the page. Then, once you've prepped the page, see where you can turn long paragraphs into short bulleted lists. Third, get rid of any excess description—readers don't want to hear you say the same thing eight times."
예를 들어, 하나의 문단 안에 여러 사실들이 나열될 때 글머리 목록을 사용하는 것이 더 낫지 않은지 생각할 필요가 있다. "온라인에 글을 쓸 때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은 개요를 잡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글머리 목록으로 변환할 수 있는 긴 문단이 있는지 살핀다. 세 번째로 과도한 설명은 삭제한다. 독자는 여덟 번씩 반복되는 똑같은 얘기를 듣고 싶어하지 않는다."
Instead of writing all of that out, you can compress it by turning it into a quick bulleted list.
모든 걸 쓰려 하는 대신 간명한 글머리 목록으로 변환할 수 있다.
Proven Writing Rhythms
효과적인 글의 리듬
Improving the way you format your writing is the fastest way to accelerating your growth as a digital writer. You would be astounded at how many people write and publish content online that is really great, but never gets read simply because of the way it is presented.
글을 구조화하는 방식을 개선하는 것은 디지털 작가로서 당신의 성장을 촉진하는 가장 빠른 방법이다. 글의 내용은 훌륭하지만 독자가 읽지 않을 만한 방식으로 글을 써서 온라인에 게시하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지 알면 놀랄 것이다.
But formatting is only the beginning.
하지만 글의 구조화는 단지 시작일 뿐이다.
Headings, subheads, and bulleted lists are the visual cues that are easiest to spot. But there is another aspect to formatting that rarely gets talked about and is equally important.
제목, 소제목, 글머리 목록은 가장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시각적 단서이다. 하지만 이와 동일하게 중요하면서도 거의 언급되지 않는 구조화의 다른 측면이 있다.
Rhythm.
바로 리듬.
What separates writing that is fun, easy to read, even musical, is writing that alternates rhythms—fast vs slow, quick vs descriptive, etc. The more your writing alternates between opposites, the more movement it has, and the more the reader feels like they are being taken on a journey (opposed to hacking their way through a textbook).
재미있고, 읽기 쉽고, 심지어 음악 같은 글은 빠름과 느림, 간명함과 상세함을 오가며 리듬을 탄다는 특징을 지닌다. 이처럼 상반되는 특성을 자유로이 오갈수록 당신의 글은 더 많은 운율을 갖고, 독자는 작가가 안내하는 여행에 동참하는 것처럼 느끼게 된다.
Here are some of the most common writing rhythms and how you can immediately put them into practice.
가장 보편적인 글의 리듬을 제시하고 이러한 리듬을 당신의 글에 즉각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 방법을 설명한다.
1/3/1
This first sentence is your opener.
첫 번째 문장은 당신의 도입부이다.
This second sentence clarifies your opener. This third sentence reinforces the point you're making with some sort of credibility or amplified description. And this fourth sentence rounds out your argument, guiding the reader toward your conclusion.
이 두 번째 문장은 당신의 도입부를 명확히 한다. 세 번째 문장은 얼마간의 신뢰로운 사실과 부연 설명을 통해 당신이 말하고자 하는 요점을 강화한다. 네 번째 문장은 당신의 주장을 정리하고 독자를 결론으로 이끈다.
This fifth sentence is your strong conclusion.
다섯 번째 문장은 당신은 강력한 결론이다.
역자 주: 결론이자 글의 다음 섹션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전환점이기도 합니다.
What makes this 1/3/1 sequence "work" is that the first sentence and the last sentence act as bookends to the bulk of the content in the middle. These single-sentence lines make the reader feel as though they've reached a checkpoint, which acts as a small dopamine hit encouraging them to continue reading.
첫 번째 문장과 마지막 문장이 글 중반부 내용에 대한 북엔드(bookend) 역할을 하면서 1/3/1 시퀀스가 작동하게 한다. 글 처음과 마지막의 한 줄로 된 문장은 독자가 체크포인트에 다다른 것처럼 느끼게 하고 소량의 도파민으로 작용하여 글을 계속 읽도록 고무한다.
1/3/1 is an especially great framework for introductions and openers, but the truth is, it can be used anytime, anywhere within your writing. In fact, you could write an entire essay or article (or even book) using the 1/3/1 sequence and readers wouldn't realize you were following a pattern. They would just think to themselves, "Wow, this thing flows so well! It's so easy to read."
1/3/1 시퀀스는 글의 도입부에 특히 알맞은 프레임워크이지만 당신이 글을 쓸 때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다. 실상, 에세이나 아티클(심지어 책도) 전체를 1/3/1 시퀀스로 쓸 수 있다. 독자는 작가가 이러한 패턴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할 것이고, 단지 "와 이 글은 정말 유려하다! 너무 읽기 쉽다."고 생각할 것이다.
Here's an example of the 1/3/1 sequence in action:
여기 1/3/1 시퀀스의 예시를 제시한다.
You can read the piece in full here.
역자 주: 위에 저자가 든 예시는 1/4/1 구조이고 각 문장의 역할에 대한 저자의 설명과도 맞지 않는 것 같아, 저자가 참고한 책에서 1/3/1 리듬의 예시로 제시된 글 일부를 아래 가져옵니다.
Life is all about perspective.
삶은 어떤 관점을 취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The exact same situation can be perceived in very different ways by two different people. One might see loss — the other, opportunity. One might feel like a victim — the other, a change-maker. Which means, as far as “absolute” truths are concerned, the first step to becoming who you truly want to be in life means accepting the fact that how you see the world might not be the whole picture.
정확히 같은 상황이라 하더라도 두 사람에게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지각될 수 있다. 한 사람은 그 상황을 상실로 지각하는 반면 다른 사람은 기회로 지각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 사람은 스스로를 피해자처럼 느낄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은 변화를 만들어내는 사람(change-maker)으로 느낄 수 있다. 말인즉, 절대적 진실에 관한 한, 삶에서 진정으로 원하는 사람이 되기 위한 첫 단계는 스스로가 세상을 보는 방식이 전체 그림은 아닐 수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데 있다.So, if our life experience is based upon the way we see the world, then here are some small but incredibly impactful mental shifts that can help you see things from a new perspective.
만약 우리 삶의 경험이 우리가 세상을 보는 방식에 달려 있다면, 당신이 새로운 관점에서 세상을 보는 것을 가능하도록 돕는 사소하지만 놀랍도록 효과적인 정신적 전환이 여기 있다.
1/5/1
The 1/5/1 sequence is the exact same as the 1/3/1 sequence, except with two more sentences in the middle for added description and/or explanation.
1/5/1 시퀀스는 1/3/1 시퀀스와 정확히 같지만, 추가 기술이나 설명을 위해 두 문장에 더해진다는 차이가 있다.
Here's how it works:
1/5/1 시퀀스가 전개되는 방식은 아래와 같다.
This first sentence is your opener.
첫 번째 문장은 도입부이다.
This second sentence clarifies your opener. This third sentence reinforces the point you're making with some sort of credibility or amplified description. This fourth sentence builds on that credibility or description, giving added context or new information. This fifth sentence explains to the reader why you're telling them what you're telling them. And this sixth sentence drives home the point.
두 번째 문장은 당신의 도입부를 명료화한다. 세 번째 문장은 얼마간의 신뢰로운 사실과 부연 설명을 통해 당신이 말하고자 하는 요점을 강화한다. 네 번째 문장은 세 번째 문장의 신뢰로운 사실이나 설명에 새로운 맥락이나 정보를 추가한다. 다섯 번째 문장은 왜 당신이 독자에게 이런 얘기를 하는지 설명한다. 여섯 번째 문장은 독자를 핵심으로 이끈다.
This seventh sentence is your strong conclusion.
일곱 번째 문장은 당신의 강한 결론이다.
If you notice, the part of the sequence that is being expanded in the middle—not the beginning and not the end. That's because you want readers to have easy "on-ramps" and "off-ramps" to the most important parts of your content (which is usually in those big, bulky paragraphs). So, to make those big, bulky paragraphs feel more accessible, make the sentence leading in and the sentence leading out clear, concise, and most of all, short.
눈치 챘을 수도 있겠지만, 시퀀스의 시작과 끝이 아니라 중간 부분이 길다. 이는 독자가 당신 글의 가장 중요한 부분(보통 가장 긴 문단)에 쉽게 진입(on-ramps)하고 빠져나가게(off-ramps) 하기 위함이다. 가장 긴 문단에 보다 쉽게 접근하도록 만들기 위해 문단 시작 전의 도입 문장과 문단이 끝난 직후의 문장은 간명하고 무엇보다 짧아야 한다.
Here's an example of the 1/5/1 sequence in action:
You can read the full piece here.
1/2/5/2/1
Now, if you want to start getting fancy with things, you can expand the middle of your sequence to add even more dynamics into your writing.
글을 더 꾸미고 싶다는 마음이 든다면 당신 글에 보다 많은 역동성을 부여하기 위해 글의 중반부를 확장할 수 있다.
The key here is to build up, and then build back down. In music, this would be called creating a "crescendo" (gradually increasing in loudness) and then creating a "decrescendo" (gradually decreasing in loudness). Notice again how the first sentence and the last sentence remains short, whereas the middle is slowly building.
핵심은 쌓아올렸다가 다시 내려오는 것이다. 음악으로 비유하자면 점진적으로 소리가 커지는 크레센도를 만든 뒤 점점 소리가 작아지는 데크레센도를 만드는 것이다. 첫 문장과 마지막 문장이 짧은 데 반해 글의 중반부는 천천히 전개됨에 주목하라.
1/3/1 + 1/3/1
With any of these writing rhythm sequences, you can then start to copy/paste them on top of each other, creating "stacks."
위에서 설명한 리듬 시퀀스 각각을 복붙하여 서로 연결함으로써 일종의 리듬 배열을 만들기 시작할 수 있다.
Here's how it works:
표현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This first sentence is your opener.
This second sentence clarifies your opener. This third sentence reinforces the point you're making with some sort of credibility or amplified description. And this fourth sentence rounds out your argument, guiding the reader toward your conclusion.
This fifth sentence is your strong conclusion.
Now, here's a new first sentence as a second opener.
This second sentence clarifies your opener. This third sentence reinforces the point you're making with some sort of credibility or amplified description. And this fourth sentence rounds out your argument, guiding the reader toward your conclusion.
This fifth sentence is your strong conclusion.
Here's an example of the 1/3/1 + 1/3/1 sequence in action:
1/3/1 + 1/3/1 시퀀스의 실제는 아래와 같다.
You can read the full piece here.
Writing Rhythms That Sound BAD!
가독성이 떨어지는 글의 리듬
- 1/1/1/1/1/1/1/1/1/1/1
- 2/2/2
- 5/5/5
Writing rhythms that sound BAD are ones that don't alternate between short sentences and long sentences or paragraphs. For example, online writing where every single sentence is its own paragraph tends to read like the author drank too much coffee. Writing where every single paragraph is 5+ sentences sounds like it's tired of itself. And writing where every paragraph is two sentences sounds monotone.
가독성이 떨어지는 글의 리듬은 짧은 문장과 긴 문장 혹은 문단을 번갈아 사용하지 않는 글이다. For example, online writing where every single sentence is its own paragraph tends to read like the author drank too much coffee. 모든 문단이 다섯 개 이상의 문장으로 구성된 글은 듣기만 해도 피곤하다. 모든 문단이 두 문장으로 이루어진 글은 단조롭다.
The way you solve this is by alternating between fast and slow, long and short.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빠름과 느림, 장문과 단문을 오가는 것이다.
For more writing rhythms, grab a copy of The Art & Business of Online Writing by Nicolas Cole. There is an entire chapter dedicated to writing rhythms with dozens of templates you can use in your own writing.
더 많은 글의 리듬을 원한다면 Nicolas Cole이 쓴 The Art & Business of Online Writing을 보라. 당신의 글쓰기에 활용할 수 있는 수십 개의 리듬 템플릿을 설명한 챕터가 있다.
Rate Of Revelation
공개의 속도(새로운 정보를 공개하는 속도)
The final formatting piece we encourage writers to think about in Ship 30 for 30 is what we like to call Rate of Revelation.
Ship 30 for 30에서 우리가 작가들에게 생각해보도록 격려하는 구조화의 마지막 단계는 공개의 속도이다.
This is how quickly you are revealing new information to the reader.
즉, 당신이 얼마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독자에게 공개하는가이다.
On the Internet, writing that optimizes for SPEED tends to be the writing that gets the most traction. If you notice, the essays or articles or Twitter threads that go viral aren't the ones that spend 7 paragraphs describing the details on a doorknob. Readers don't have the patience for that. Instead, readers want every single sentence to push the story or point forward.
인터넷상에서는 속도에 최적화된 글이 가장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는 경향이 있다. 알아차렸을 수도 있지만, 사람들에게 많이 공유되는 에세이나 아티클 혹은 트위터 타래를 보면 글 초입에서 디테일을 설명하기 위해 일곱 문단을 쓰는 경우는 없다. 독자들은 작가의 이런 의도를 기다려줄 인내심을 갖고 있지 않다. 대신 독자들은 각각의 문장이 빠르게 이야기를 전개시키거나 요점을 가리키기를 원한다.
For example, here's what a SLOW Rate of Revelation might look like:
예를 들어, 느린 공개 속도를 보이는 글의 전개는 다음과 같다.
When it comes to building a daily writing habit, the hardest thing for most writers is remembering the importance of just sitting down and writing. It can be difficult to get yourself to write, but that’s part of the name of the game. And in moments you can’t write, you have to remember that all writers go through this—it’s just part of the craft.
일상의 글쓰기 습관을 형성함에 있어 작가들에게 가장 힘든 부분은 그저 앉아서 쓰는 것의 중요성을 기억하는 것이다. 스스로가 글을 쓰게끔 만드는 것은 어렵지만, 사실 이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리고 글을 전혀 쓸 수 없을 때 모든 작가가 동일한 경험을 함을 기억해야 한다. 그것은 글쓰기 작업의 일부일 뿐이다.
Now, here's what a FAST Rate of Revelation looks like:
이제 빠른 공개 속도를 보이는 글의 전개를 보여주겠다.
When it comes to building a daily writing habit, there are three things that usually get in a writer’s way. First, they over-edit. Second, they talk themselves out of the idea (“This will never work. I’m better off just doing laundry.”) And third, their laptop runs out of battery at the coffee shop (this happens more often than you might think).
일상적인 글쓰기 습관의 형성을 방해하는 세 가지가 있다. 첫째 과도한 글의 수정. 둘째, 아이디어가 바닥났다고 스스로에게 말하는 것("이건 절대 안 통해. 빨래나 하는 게 낫겠어"). 세 번째로 커피샵에서 노트북 배터리가 나가는 것(당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흔하게 발생한다).
Notice how in the second example, every single sentence is moving the idea forward.
두 번째 예시에서 글을 전개하는 방식에 주목하라. 모든 문장이 아이디어를 진전시키고 있다.
A good rule of thumb here is to ask yourself, "Am I continuing to describe and repeat something I already said? Or am I moving on and saying something new?"
경험에 근거할 때, 가장 좋은 방법은 스스로에게 묻는 것이다. "이미 말한 것을 또 설명하고 반복하고 있는가? 아니면 무언가 새로운 것을 말하는 데로 나아가고 있는가?"
Aim for the latter.
후자의 방식을 따르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