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회복탄력성을 개인의 자질이나 노력에 국한하지 않는 것의 중요성
- 한낮의 우울을 통해 앤드루 솔로몬이라는 작가를 알게 되었습니다. 앤드루 솔로몬은 현재 임상심리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게이인 동시에 오랜 기간 심한 우울증을 경험한 과거를 지녔습니다.
- 이 에피소드에서 정체성, 회복탄력성, 청소년의 자살, 학교폭력 가해자가 경험하는 심리적 어려움, 다양한 가족 형태의 탄생과 이를 설명할 어휘의 부족 등 여러 주제를 다룹니다.
- 이 중 제가 초점을 맞추게 되는 부분은 두 가지 입니다. 첫째, 우울을 질병으로 볼 수도 있고 정체성으로 볼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얽히고설킨 이 둘을 자의적으로 구분하는 것은 환원주의적이라고 말합니다.
- 그러면서 노년기에 점진적으로 시각을 상실하는 유전적 질환을 경험하게 된 한 시인의 말을 인용합니다.
- "한때는 실명하느니 차라리 죽고 싶다고 생각한 적이 있습니다. 지금은 그 반대의 느낌이 듭니다. 일상 생활에 새로운 기쁨과 활력이 생겼습니다. 저는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우체국에 가는 것과 같은 가장 평범한 일이 매우 흥미로워졌습니다. 일상적인 삶에서 저는 마침내 제가 더 마음 챙기고 깨어 있고 더 온전히 존재하고 있다고 느낍니다. 저는 절망 대신 호기심을 선택했습니다." - DeepL 번역
- 솔로몬은 고통스러웠던 과거 질병 경험도 지금의 내가 있게 한 나의 일부이기 때문에 수용하는 것이 중요하고, 희망적인 서사를 도드라지게 하는 정도의 위치로 과거 경험을 격하할 필요는 없다고 이야기하는 것 같습니다.
- 이는 제가 크게 공감한 두 번째 초점으로 이어집니다. 누구나 고통을 통해 성장하는 것은 아니며, 개인의 노력 이외에도 자신의 통제 범위를 벗어난 변수들이 많이 작용하기 때문에, 회복하지 못하는 개인의 의지 부족을 탓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죠.
- 심리학자들은 회복탄력성(Resilience)에 대해 반복적으로 이야기 해왔습니다. 외상적인 경험에 노출되어도 2/3 정도는 이전과 같은 안정적 심리 상태로 회복한다는 것이죠.
- 어떤 사람은 한 잔만 마셔도 취하고 어떤 사람은 술을 들이부어도 잘 취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고통을 통해 성장하는 사람도 있고 그렇지 못한 사람도 있게 마련인데, 고난 후 성장의 서사를 강조하게 되면 회복과 성장을 하지 못한 사람을 의도치 않게 낙인 찍게 될 수 있다는 뉘앙스로 이야기합니다.
- "그렇다고 해서 회복과 성장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없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하지만 우리 모두는 모든 면에서 공평한 처지에 있는 것은 아닙니다." 솔로몬은 자신이 심한 우울증에서 회복할 수 있었던 것도 회복하는 데 필요한 내외적 자원을 운 좋게도 다른 사람보다 조금 더 많이 가지고 있었기 때문일 수 있다고 말합니다.
- 고난에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통제감을 회복하고 다시 살아갈 힘을 얻기도 하는 게 사실이지만, 모두가 이렇게 할 수 있는 것은 아님을 염두에 둘 수 있어야 합니다. 많은 지원에도 불구하고 회복하지 못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고, 그를 비난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개인 차원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솔로몬이 강조하듯이, 회복에 대한 믿음을 갖고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회복이 더디다고 해서 스스로를 질타하기보다 연민할 필요가 있습니다.
나를 죽이지 못하는 것은 나를 더 강하게 만든다는 신화
- 좌절과 불운이 촉매가 되어 한 인간을 더 강하게 만든다는 사회문화적 통념에 이견을 제시하는 에피소드라 흥미롭습니다.
- 니체부터 수퍼히어로물에 이르기까지, 불행한 일이 발생했지만 어떻게든 그것을 극복하고 이전보다 더 나은 상황에 이른다는 서사는 인기가 많습니다. 사람들은 이러한 서사를 쉽게 받아들이고, 자신의 삶이 역경에 처했을 때 이 서사를 되뇝니다. "나를 죽이지 못하는 것은 나를 강하게 만든다."
- 이는 심리학에서 외상 후 성장(Post-Traumatic Growth) 개념과 비슷합니다.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외상 후 성장은 매우 어려운 삶의 위기를 극복한 결과 발생하는 긍정적인 변화의 경험입니다. 외상 후 성장은 일반적으로 삶에 대한 감사, 더 의미 있는 대인 관계, 개인적 강인함의 증가, 우선 순위의 변화, 더 풍요로운 실존적, 영적 삶 등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납니다." - 출처 DeepL 번역
- 최선의 고통이라는 책에서 심리학자 폴 블룸은 외상 후 성장의 과학적 근거가 미흡함을 지적합니다. '외상이 성장으로 이어지는가' 라는 질문을 품고 외상 후 성장에 관한 122개의 종단 연구를 메타 분석한 결과, 외상 경험과 같은 부정적 생활 사건뿐만 아니라 중대한 긍정적 생활 사건 이후에도 사람들은 심리적으로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성장 경험이 사건의 긍정/부정적 특성과 무관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 이라크 파병 군인을 대상으로 하여 파병 후의 지각된 외상 후 성장과 PTSD 증상 간의 관계를 살핀 한 종단 연구 결과는 더 인상적입니다. 즉, 파병을 마치고 귀국한 지 5개월 된 시점에서 파병 경험의 결과로서 자립심이 강해졌고, 자신의 삶에 더 감사하게 되었으며, 다른 사람들과 더 가까워졌다고 보고한(지각된 외상 후 성장) 군인은 그렇지 않은 군인에 비해 귀국 15개월 시점에 더 많은 PTSD 증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외상 경험은 성장과 무관할 수 있고, 자신이 외상을 통해 성장했다는 믿음을 견지하는 것은 일종의 현실 부인으로서 PTSD 증상 악화를 촉진하기 쉬움을 알 수 있습니다.
- 다만 한 연구에 따르면, 역경을 통해 다른 사람에 대한 연민의 감정이 커질 수 있고, 이러한 감정을 바탕으로 자신처럼 고통 받는 사람을 돕고자 하는 친사회적 행동을 하기 쉽습니다.
- 물론 역경이 다른 사람에 대한 연민과 친사회적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것이 가능하려면 성찰 과정을 통해 역경과 고난을 내면에 통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 사건이 나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 이걸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이 사건을 내 인생에서 뭔가 다른 일을 할 수 있는 기회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이처럼 자신이 경험한 역경과 고난을 해석하는 방식이 다른 사람에 대한 연민에 영향을 미칩니다.
- 요점은 역경이 우리를 더 강하고 더 나은 사람으로 만든다는 관점은 너무 단순한 해석이라는 점입니다. "누군가는 다른 사람에게 더 자애로워지기도 합니다. 누군가는 더 현명해질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누군가는 자신의 가치에 부합하는 행동에 전념하면서도 여전히 정신건강이나 삶의 다른 어떤 영역에서 심각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