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공부/영어 듣기

잠이 오지 않는 밤의 영어 리스닝 흔적

by 오송인 2025. 4. 30.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wv779vmyPVY

AI를 도구가 아닌 팀메이트로 접근하고 피드백을 줘야 창의적인 아웃풋을 내는 데 도움이 된다 하네요.

https://youtu.be/Vu6sGg4xKVs?si=xmPKiaDy_EI0Zgiy

NotebookLM에 사적인 정보들을 넣은 후 자기 삶에 중요한 질문들을 하고 코치에게 피드백 얻듯이 활용한다는 내용입니다. 사적인 자료를 그렇게 올려도 되는지 누군가 덧글에 달기도 했지만, 이미 구글은 당신의 많은 것을 알고 있고, 그런 상황에서 유익한 도구를 활용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말하는 덧글도 있습니다. 영상보다 덧글이 재미있네요.

https://youtu.be/KvTGUI4Tznw?si=Hxog9_Y5Hi2cG0I1

인공지능이 어떻게 인간 피드백을 받아 더 적절하고 정교한 아웃풋을 내게 되는지 설명합니다. 단순히 많은 데이터를 갖는 것보다, 사람의 피드백을 이용하여 인공지능을 강화학습할 때 훨씬 쓸모 있고 가성비 좋은 LLM이 탄생한다는 내용입니다. Deepseek도 이런 식으로 탄생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영상 후반부 내용은 잘 이해가 안 되네요. LLM 트레이닝할 때 사람의 피드백을 정확히 어떤 식으로 수집하는지 궁금해졌습니다.

https://youtu.be/Q3pjnp2ojig?si=5J-_GhlsRNdxQ-Ld

변화에 저항감이 심한 일본 사회문화적 풍토 때문에, 하드웨어적으로는 뛰어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에서 발전이 더디다는 진단입니다. IT쪽이 약세이고 이 쪽 인재가 적기 때문에, 중국이나 러시아와 같은 나라의 해킹에 취약해지고요. 기업에서 팩스를 여전히 많이 이용한다는 내용을 보면서, 일본에서는 신용카드보다 현금이 더 많이 쓰이는 이유를 알 것 같았습니다.

https://youtu.be/DmdZXnA5YVY?si=niPX2ljvxXhWWBVa

젊은이들이 부산에서 직장을 잡지 못하고 서울이나 경기도로 이주하기 때문에 도시가 활력을 잃어갔지만 최근에는 타지 생활을 접고 다시 부산으로 돌아오는 사람도 늘고 있다 하네요. 각박한 서울의 삶보다 연봉은 좀 낮더라도 삶의 밸런스를 원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이건 부산만의 현상은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을 했어요. 세계 어느 나라든 비슷하지 않을지.

적고 보니 요즘에는 확실히 AI, 테크놀로지 관련 유튜브 영상을 많이 보는 것 같네요. 관심사로 영어공부하면 몰입이 잘 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