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루하루/일상

마음챙김 육아의 필요성

by 오송인 2020. 1. 7.
반응형

아이들이 보이는 행동은 아이를 둘러싼 많은 사람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며, 그 중 아무래도 엄마나 아빠의 영향력이 막대하다. 사회적 상호작용은 아이에게 일종의 실험실과 같아서 어떤 말이나 행동이 되고 어떤 것이 안 되는지 가설 검증하는 자리라 할 수 있다. 가설 검증을 통해 마음 속 규칙이 형성되고, 이 규칙이 향후 자기 자신과 타인을 대하는 방식을 상당 부분 결정짓는다. 


애착이론의 언어로 하면 내적작동모델이 오랜 시간에 걸쳐 공고화되는 과정이라 할 수 있겠는데, 딸의 마음을 적절히 반영해 주지 못 해서 감정이 억눌리고 결과적으로 자기 일부를 통합하는 데 실패함으로써 유연하지 못 한 내적작동모델을 만드는 데 기여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될 때가 많다. 


이런 가운데 애착과 심리치료 원서를 읽다가 저자의 육아 경험이 나와서 눈여겨 보게 된다. 내용은 대략 아래와 같다. 


아이가 저녁에 일어나 울며 엄마를 찾는다. 아빠가 가도 "아빠 저리가"라며 짜증을 낸다면 이 때의 즉각적인 아빠 반응은 화다. 아이의 짜증에 그대로 반응하는 상태로 포나기의 용어로 하면 psychic equivalence mode다. 이런 모드에서는 아빠나 아이 모두 감정을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내 마음이 곧 현실이라 해석의 여지가 들어설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짜증을 짜증 그 자체로 보기보다 엄마 품에 안겨서 안정을 찾고 싶은 마음이 충족되지 못 한 데 따른 좌절감으로 볼 때, 즉 정신화가 가능할 때, 아이에게 보다 온건한 방식으로 감정 반영해 줄 여유가 생긴다. 아이의 감정과 동일시되기보다 아이의 감정 해석을 통해 심리적인 여유를 찾음으로써 공감의 가능성이 비약적으로 증가한다. 


이러한 공감을 언어적/비언어적으로 아이에게 전달하면 아이는 감정에 압도되기보다 그것을 상징화할 언어를 갖게 됨으로써 좌절감 역시 완화된다. 짜증을 수반한 울음이 멎는다. 


아빠가 아이 감정에 대한 정신화를 통해 스스로뿐만 아니라 아이의 감정을 조절하는 이런 과정은 심리치료에서 내담자와 치료자 간에 발생하는 치료적 상호작용의 실체와 다르지 않다. 즉, 정신화를 통해 치료자-내담자 간의 비언어적(명명되지 않은 감정을 포함한) 상호작용 양상을 자각하여 이를 담론의 영역으로 가져오고 협력적인 가설 검증과 공감적 반응을 통해 내담자 내러티브의 일부로 통합시킨다.


psychic equivalence mode로 아이를 혼내게 될 때가 간혹 있는데, 내 마음그릇이 정말 좁다는 것을 상담뿐만 아니라 육아(+사랑하는 와이프의 직설적 피드백)를 통해 새삼 실감하는 터라 마음챙김 연습을 조금씩 하고 있다. 몸 자각과 감정 자각이 잘 되지 않으면 자기자신과의 관계에서뿐만 아니라 타인과의 관계에서 해로운 영향을 미치기 쉽다. 자식에게 좋지 않은 것을 물려주고 싶은 부모는 없을 것이다. 문제인식이 명확히 되었으니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