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dfulness and Psychotherapy 9장을 읽다가 흥미로운 내용이 있어서 옮겨 옵니다.
Let us return to the problem of chronic back pain. Most patients and, until recently, most health care professionals have naturally assumed that persistent back pain must be due to damage to the disks or other structures of the spine. After all, if we cut our finger, we see blood and feel pain. We automatically surmise that back pain functions similarly, even if the “injury” is not visible to us. There has recently been an explosion of research findings that question this, however. They all point to a lack of correlation between the condition of the spine and the presence of pain. Education about these findings is a necessary part of effective treatment programs..(후략) - 176쪽.
요통이 발생하면 보통 척추에 뭔가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상식이고, 아직도 허리 디스크는 시술이나 수술을 통해서 나아질 수 있다고 의사들이 많이 선전합니다. 하지만 시술이나 수술을 통해서 요통이 나아질 수 있다는 것은 과학적인 근거가 있는지도 의문이고, 오히려 위에 언급되고 있듯이 허리 디스크 시술이나 수술의 무용성을 시사하는 근거들이 많습니다. 요즘에는 몇백만 원짜리 시술도 실비 보험 처리가 되니 돈벌이에 악용하는 것 아닌가 하는 의심을 늘 지울 수가 없습니다. 이런 것들이 이미 PD 수첩 같은 공중파에서 오래 전에 방송되기도 했지만, 여전히 허리 시술 받는 사람이 많은 것 같고요.
허리 통증이 인체의 구조적인 문제 때문이 아니라 심리적인 문제와 더 깊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근거들을 같은 책에서 마저 옮겨옵니다.
[허리 통증이 허리의 구조적인 문제와는 관련이 적고, 의학적인 수술과 허리 통증 간의 관련성도 적다는 근거]
• Approximately two-thirds of people who have never suffered from serious back pain have the same sorts of “abnormal” back structures that are often blamed for chronic back pain (Jensen et al., 1994).
• Many people continue to have pain after “successful” surgical repair. There is little correlation between the mechanical success of repairs and whether or not the patient is still in pain (Fraser, Sandhu, & Gogan, 1995; Tullberg, Grane, & Isacson, 1994).
• People in developing countries who do “back-breaking” labor, and use ergonomically primitive furniture and tools, have the lowest incidence of chronic back pain—not what we would expect if damage to the spine were the culprit (Volinn, 1997).
Jensen, M. , Brant-Zawadzki, M., Obucowski, N., Modic, M., Malkasian, D., & Ross, J. (1994).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lumbar spine in people without back pain.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31(2), 69–73.
Fraser, R., Sandhu, A.,&Gogan,W. (1995). Magnetic resonance imaging findings 10 years after treatment for lumbar disc herniation. Spine, 20(6), 710–714.
Tullberg T., Grane, P., & Isacson J. (1994). Gadolinium enhanc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36 patients one year after lumbar disc resection. Spine, 19(2), 176–182.
Volinn, E. (1997). The epidemiology of low back pain in the rest of the world: A review of surveys in low middle income countries. Spine, 22(15), 1747–1754.
[허리 통증이 심리적인 요인과 관련 있다는 근거]
• Psychological stress, and particularly job dissatisfaction, predicts who will develop disabling back pain more reliably than do physical measures or the physical demands of one’s job (Bigos et al., 1991).
• Back pain patients show significantly increased muscle tension in their backs when placed in an emotionally stressful situation, while other pain patients do not (Flor, Turk, & Birbaumer, 1985).
• Chronic back pain is unusually prevalent among people with trauma histories or those who live in stressful situations, such as war zones (Beckham et al., 1997; Linton, 1997; Pecukonis, 1996).
Bigos, S., Battie, M., Spengler., Fisher, L., Fordyce,W., Hansson, T., et al. (1991). A prospective study of work perceptions and psychosocial factors affecting the report of back injury. Spine, 16(1), 1–6.
Flor, H., Turk, D., & Birbaumer, N. (1985). Assessment of stress-related psychophysiological reactions in chronic back pain patien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3(3), 354–364.
Beckham, J., Crawford, A., Feldman, M., Kirby, A., Hertzberg, M., Davidson, J., et al. (1997). Chronic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chronic pain in Vietnam combat veteran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43(3), 379– 389.
Linton, S. (1997). A population-based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abuse and back pain: Establishing a link. Pain, 73(1), 47–53.
Pecukonis, E. V. (1996). Childhood sex abuse in women with chronic intractable back pain. Social Work in Health Care, 23(3), 1–16.
물론 이런 심리적인 요인들은 교감신경계의 과활성화 같은 생리적 반응을 통해서 허리 통증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입니다. 몸과 마음은 당연히 떼어놓고 생각할 수 있는 것이 아니죠.
저자가 쓴 요통 감소 자조서가 한 권 번역돼 있습니다. 강추합니다. 이 책 읽고 만성 허리 통증이 사라졌다는 간증도 있네요. ㅎ
덧. 노파심에 덧붙이자면, 이 글은 시술이나 수술의 효과에 대한 의문이지 의사의 전문성 자체를 문제 삼는 것은 아닙니다. 제가 만났던 졍형외과 의사 두 명 중 한 명은 다짜고짜 시술부터 권했고 한 명은 소염진통제 주고 죽기살기로 걸으라 했어요. 결국 어떤 식의 전문성을 선호하느냐는 환자의 선택이죠. 다만, 최소한 몇백만 원짜리 시술의 기대 효과라든지 장단점, 대안 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 의사는 일단 불신하는 게 맞다고 봐요.
끝으로 통증과 수술의 관련성이 적을 수 있다는 것이지 통증이 있든 없든 척추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들이 있고(예를 들어 허리 통증 때문에 앉아서 대소변 보는 것도 어려운 수준이라거나 실금이 있을 때), 이건 의사 판단에 맡겨야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