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공부/원서 읽기

Chapter 4 Incorporating Client Strengths and Building Resilience(pp. 93-105)

by 오송인 2020. 7. 17.
반응형

이하 Collaborative Case Conceptualization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제가 부족한 부분이라 더 열심히 형광펜 칠해가며 읽었습니다.

 


 

Unlike Zainab, most clients want and expect to talk about their problems at the beginning of therapy. Even so, it is important for the therapist to ask about and express genuine interest in client strengths. In times of intense distress, clients often forget they have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Therapist inquiries about strengths, skills, and support can remind the client of resources that may prove immediately helpful. Also, therapists who search for strengths obtain a more holistic view of their clients. Clients who are invited to reveal positive qualities as well as struggles are likely to leave an initial therapy session with more confidence that their therapist “knows” them. pp. 95-96.

 

상담 초기부터 내담자가 지닌 강점에 초점을 두는 것이 내담자를 전인적으로 보는 데 필수적임. Therapists cas routinely inquire about strengths.. p. 96

 

Although a therapist can directly ask the client to identify strengths, it is often more helpful to explore areas of the client’s life that are going relatively well. For example, a client who complains of work stress can be interviewed about life at home, relationships with friends, hobbies, and other interests. By expressing curiosity about areas of the client’s life that are going well, the therapist communicates to the client that he or she is interested in all of the client’s life, not just problem areas. p. 96

 

강점이 무엇인지 내담자에게 직접적인 방식으로 묻기보다 비교적 잘 지내는 다른 삶의 영역이 무엇인지 묻는 것이 필요함.

 

Any common daily activity maintained during distress is symbolic of some value the client holds that can be viewed as a strength. These values and strengths may only be implicit, and clients may minimize them through the cognitive biases that are typical of emotional disorders (Beck, 1976). p. 99

 

힘든 가운데서도 무언가 루틴을 잘 지키고 있는 부분이 있다면 이 부분이 강점이 될 수 있는 내담자의 가치를 상징하는 것일 수 있음. 예를 들면 아이를 향한 책임감과 사랑이 있기에 힘들어도 아이들 등하원과 식사는 잘 챙기는 부분.

 

사소해 보이는 것에서도 내담자의 강점을 발견해 낼 수 있으려면 상담자 자신부터 자기자비나 셀프칭찬이 잘 돼야 할 것 같은데, 우울성향을 지닌 상담자는 이게 어려울 수도 있을 것 같음(제 얘기..).

 

보통 내담자의 강점에 대해 이런 식으로 짚어준다 하더라도 그 의미를 평가절하하는 데 내담자가 익숙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가능성까지 고려해서 강점에 관해 피드백 해야 한다는 부분이 매우 현실적이고 쓸모있는 조언이라고 느꼈음.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부분.

 

“Those small things you do for your children, even if you don’t always do them very well when you are feeling so poorly, speak positively about who you are inside as a person.” p. 100

 

물론 잘 못할 때도 있겠지만 그 사소한 행동들이 당신의 진정한 면모를 긍정적으로 보여준다는 뉘앙스로 상담자가 강점 피드백 하면 내담자가 반박하기보다 수용할 가능성이 높음.

 

Strengths can be incorporated at each stage of therapy. Goals can be stated as increasing strengths or positive values (e.g., be more considerate) as well as reducing distress (e.g., feel less anxious). As we demonstrate in Chapter 5, therapists can routinely ask about positive goals and aspirations in early sessions and add these to the client’s list of presenting issues. p. 101

 

상담 초기 목표 설정할 때부터 괴로움 감소뿐만 아니라 강점이나 긍정적 가치를 고양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것. 이것 역시 간과했던 부분이라 형광펜.

 

Sometimes these conceptualizations reveal overused strengths that contribute to distress. p.103

 

가끔 내담자의 강점이 어떤 영역에서는 약점이 되기도 하기 때문에(예를 들어 일터에서 성과 높이는 데 기여하는 강박성이 가정에서는 갈등을 야기함) 새로운 행동 양식을 개발할 필요도 있다는 것.

 


병원에서 심리평가만 하다 보면 내담자 강점 보는 게 어렵다고 느껴질 때가 있다. 내가 약한 부분이라고 생각했고, 상담에서도 앞에 앉은 사람을 온전히 보려면 시간이 걸리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상담할 때는 검사를 가급적 안 하고 내담자 얘기를 잘 듣는 게 나을 수도 있겠단 생각이 들었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