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상심리학/정신병리

자기애성 성격은 공감 능력이 결여돼 있는가?

by 오송인 2020. 11. 15.
반응형

Fan, Y., Wonneberger, C., Enzi, B., de Greck, M., Ulrich, C., Tempelmann, C., … Northoff, G. (2010). The narcissistic self and its psychological and neural correlates: an exploratory fMRI study. Psychological Medicine, 41(08), 1641–1650.


Psychological and neuroimaging data indicate respectively higher degrees of alexithymia and lower deactivation during empathy in the insula in high narcissistic subjects. 


비임상 샘플에서는 공감 능력에 연관되는 섬엽(insula)의 반응이 자기애가 높은 집단에서 더 저조한 것으로 나옴.




Nenadic, I., Güllmar, D., Dietzek, M., Langbein, K., Steinke, J., & Gaser, C. (2015). Brain structure in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 VBM and DTI pilot study. Psychiatry Research: Neuroimaging, 231(2), 184–186. 


However, our study fails to find changes in the insular cortex, an area highlighted in the study by Schulze et al. and linked to empathy (Decety and Moriguchi, 2007; Decety et al., 2012b), a function in which many NaPD patients are deficient.


자기애성 성격장애 샘플에선 위 연구에서 관찰된 insula 활성화 결과가 반복되지 않음.




Ritter, K., Dziobek, I., Preißler, S., Rüter, A., Vater, A., Fydrich, T., … Roepke, S. (2011). Lack of empathy in patients with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Psychiatry Research, 187(1-2), 241–247. doi:10.1016/j.psychres.2010.09.013 


 The study's conclusions were that while NPD involves deficits in emotional empathy, cognitive empathy seems grossly unaffected.


'인지적'으로 타인의 감정 상태를 정신화하는 능력은 비교 집단(BPD without NPD, Healthy subjects)과 차이가 없지만 자기애성 성격장애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타인에게 '정서적'으로 공감 반응하는 데 어려움을 보임.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의 차이가 아래 기술됨.


Thus, cognitive empathy (Baron-Cohen and Wheelwright, 2004) refers to the ability to take another person's perspective and to represent others' mental states, and as such, broadly overlaps with the constructs “Theory of Mind” (Premack and Woodruff, 1978) and “mentalizing” (Frith and Frith, 2003). The construct of emotional empathy (Mehrabian and Epstein, 1972; Eisenberg and Miller, 1987) describes an observer's emotional response to another person's emotional state




위 세 연구를 종합해 보면, DSM-5의 자기애성 성격장애 진단은 구성타당도가 부족하다고 지속적으로 비판 받아 왔는데 특히 진단 기준 중 공감 능력의 결여는 자기애성 성격장애를 감별하는 요소로 적합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음.


이 글(https://www.psychologytoday.com/us/blog/intense-emotions-and-strong-feelings/202001/do-narcissists-actually-lack-empathy)에서 저자는 


Consider for a moment that narcissistic people do not really lack empathy, but instead, their vulnerability and need for self-protection limits their freedom to express it. 


즉, 공감 능력이 결여됐다기보다 '감정을 표현하는 것'과 '취약성을 숨기고 자기보호하려는 욕구'가 상충하기 때문에 후자에 무게가 쏠리면서 감정 표현이 제약된다고 봄.


위에 언급한 첫 번째 연구에서 나타나듯 자기애성 성격이 강할수록 자기/타인 감정 인식이 잘 안 될 가능성이 높아지지만, 위 세 번째 연구가 시사하듯 감정 인식 능력이 결여돼 있다고 보기는 어려움. 자기나 타인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거나 타인의 감정에 공감을 표현하는 것이 내적 경험을 통제하려는 노력에 상당한 위협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감정을 차단하고 공감 능력이 부족해 보이는 모습을 보이기 쉽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어야 치료에서 터져나오는 분노에 공감적으로 반응하며 분노의 이면에 있는 수치심 같은 자기애성 성격의 핵심적인 감정에 적절히 반응할 수 있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