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상심리학/정신병리

방어적 배제(defensive exclusion)

by 오송인 2020. 11. 30.
반응형

"불안정-회피 유형의 아이는 보살핌을 받을 가치가 없는 자기와 돌봐 주지 않는 타인에 대한 내적 모델을 갖고 있고, 이런 모델은 아이로 하여금 타인이 더 멀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자신의 갈망과 분노를 억압하도록 강요한다. 이런 거리두기의 패턴에서 아이는 자신의 분노와 욕구, 불안, 양육자의 거부에 대한 인식을 부인하는데, Bowlby는 이를 방어적 배제라 불렀다. 견딜 수 없는 고통을 포함하는 지각과 감정 및 초기단계 행동의 체계가 분열되고 얼어붙은 인지와 감정의 덩어리로 불활성화된다."

 

대상관계이론 입문, 256쪽.

 

회피애착 지닌 사람은 어릴 적 기억 회상을 잘 못 하고 특히 부모와의 일련의 경험을 잘 기억하지 못 할 때가 많다. 비교적 흔한 현상이기 때문에, 거부적인 수검 태도 때문인지 언어(적 회고) 능력을 비롯한 지능상의 문제인지, 기억력의 문제인지 등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봤을 때 다른 문제가 뚜렷하지 않다면 회피애착에 연관된 성격의 문제일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방어적 배제는 내외적 경험 모두에 적용되기 때문에 일상이 매우 단조롭고 단순하게 묘사될 수 있고, 상담자는 지루함과 같은 역전이를 느끼기 쉽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