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공부/원서 읽기

[7주차] Psychodynamic Therapy: 5. Core Psychodynamic Problems, Part I (pp. 105-121)

by 오송인 2021. 8. 6.
반응형

피터의 치료에서 유기 불안 취약성 및 혹독한 자기비판의 감소를 치료 목표로 둔다는 부분이 명쾌하게 다가오는데 실제적으로 어떤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일까 궁금해서 여기 레퍼런스로 나온 Busch의 책을 봐야 하나 싶었습니다. 아마존에서 목차를 보니 궁금증이 더 커지네요. 

사실 우울증에 관해 얘기하고 있지만, 제가 느끼기에 피터 사례개념화에서 유기 불안과 거절에 대한 민감성, 이상화와 평가절하에 따른 분노와 좌절, 자기비판과 자기파괴적 행동 등을 고려할 때 BPD 사례개념화에 더 가깝지 않나 싶습니다. 특히나 <치료 동맹> 절의 역전이 설명에서 환자가 경험하는 무력감에 공감하게 될 때 이것이 치료자 자신의 무력감과 무능감이라는 역전이 감정을 통해 치료자에게 상당한 고통을 안기기 때문에 환자와 거리두려 하는 태도를 보이기 쉽다는 부분이 그렇네요. <전이와 역전이>에서 치료자가 환자에게 아낌없이 베푸는 정서적 대상으로 이상화될 수 있다는 언급이라든지 환자에게 상처주었던 과거 부모 역할을 떠맡게 될 수 있다는 부분도 그렇고요. 요즘에 BPD 역전이 관련하여 가바드 책을 보고 있는데 제가 보고 싶은 것만 보는 것인가 하는 생각도 들고요. 

치료 기법에서 거절 민감성, 상처 받은 데 따른 분노, 분노에 대한 죄책감 및 염려를 반복적으로 다루면서 감정을 더 깊이 느낄 수 있게 하고 궁극적으로는 현재 감정과 과거 감정의 연관을 인식하여 둘을 구분할 수 있게 돕는 부분이 좋았지만, 역시나 이를 상담에서 어떻게 전개시켜 나가는지에 대한 감이 부족하니 앞으로 이런 부분들을 수퍼비전을 통해 잘 배워나가야겠단 생각을 합니다.

강박성 파트에서는 내재된 분노(공격성)과 이를 컨트롤하기 위한 주지화, 격리 방어기제를 잘 요약해 주고 있고, 상담 시간에 상담자에게 말할 틈을 주지 않는다는 부분에서 과거 제 개인 분석 초기의 시간들이 떠오르며 좀 찔렸습니다.; 벤의 사례개념화 부분도 공감되는 부분이 많았고요. 분노가 표현됐을 때 재앙적인 결과(ex 대상 상실)를 야기할 수 있다는 무의식적인 느낌이 온몸에 배어 있기 때문에 이를 통제하고자 안간힘을 쓰고, 그런 노력이 강박성에서 나타나는 엄격하고 잘 조직화된 생활 양식으로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강박성 내담자를 치료할 때 치료자 역시 분노를 느끼기 쉽고 지루함과 거리감을 느끼기도 쉽다는 부분은 충분히 이해가 되는 지점이고요. (지지와 공감을 바탕으로 감정에 접촉할 수 있게 "over and over again"함으로써 감정을 경험하더라도 재앙적인 결과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체감할 수 있게 돕는 것이 치료적임을 배웁니다. 치료 과정이 더디고 진전이 없이 같은 지점에 머무른 것처럼 느껴지더라도 치료 방향을 잘 잡고 있다면 치료자가 느끼지 못할지라도 내담자의 감정 접촉에서 일말의 진전이 있음을 상기하는 게 중요할 것 같아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