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상심리학/정신병리

[정신증의 로샤 평가] 1장 정신증 현상: 현실검증과 장애적 사고의 개념적 이해를 향하여

by 오송인 2021. 1. 26.
반응형

..부실한 현실검증이 자동적으로 정신증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객관적인 참조틀의 확립에 어려움을 겪는다. 그들은 자신의 경험에 과도하게 많은 주관성을 부여하고, 자신의 사고 및 느낌을 다른 사람의 경험과 구분하지 못한다. 오직 이런 변별 능력이 충분히 손상되었을 때, 그리고 그 사람이 무엇이 '현실'이고 무엇이 '상상'인지 구분하는 데 실패했을 때에만 우리는 그것을 정신증이라고 부르게 된다. p. 26

-> 검사 지표들, 예를 들어 X-% 나 BIZ, PSYC, Sc 등이 상승한다고 해서 자동적으로 정신증이 되지 않는 이유.

 

보통 사고장애 단독으로는 정신증 진단을 확정하는 데 불충분(그리고 불필요)하다. p. 27
-> 망상이나 환각처럼 현실검증력 상실이 반드시 있어야. 이 둘이 분명하지 않다면 사고장애 단독으로는 불충분하다. 물론 사고장애를 지녔다면 정신증 진단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은 사실.

 

사고탈선(derailment) = 이완된 연상 

사고이탈(tangentiality): 질문에 대한 답변이 이상하게 관련되거나 완전히 관련성이 없는 경향성 p. 29

-> 반대로 알고 있었음을..


형식적 장애는 사람이 사물을 말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이러한 형식적 사고의 특징들은 실행 기능과 주의 변인(초점화, 필터링, 주의전환), 그리고 언어 생산 체계의 측면들(단어 인출 유창성, 표현의 조율, 응집적 연결, 담화의 응집성)을 반영하는 언어적 차원이 된다. p. 32

장애적 사고의 총체적 모형: 어떻게, 무엇을, 어디에서, 언제, 그리고 왜 pp. 34-36
 어떻게 - 형식적 사고장애를 가리킴
 무엇을 - 사고 내용의 장애
 어디에서 - 양성 사고장애로서의 비논리성, 음성 사고장애로서의 경직되고 구체적이며 보속적인 사고과정
 누구에게 그리고 언제 - 자신이 말한 것이 다른 사람에게 어떻게 들리는지를 고려할 수 있는가?
 왜 - 신경생물학적 고려와 더불어 불안, 정동, 동기, 갈등 및 방어, 자기경험의 전환, 대상관계적 패러다임 포함. 

만일 우리가 사고장해가 연속적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수용한다면, '사고장애'라는 용어는 사고장애를 정상 사고와 구분된 이분법적 실체로 오해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Harrow와 Quinlan(1977)은 '사고장애(thought disorder)'를 '장애적 사고(disordered thinking)'로 대체할 것을 제안했다. p. 37

..아무리 정신증 환자가 비정신증적 환자보다 더 사고장애적인 양상을 보인다고 하더라도, 심한 장애적 사고가 항상 정신증의 기본 기능인 것은 아니고 다른 정신증 상태보다 조증 및 조현병에서 훨씬 더 빈번할 뿐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p. 37
-> 일례로 망상이 심해도 사고장애는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