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루하루/서평

Case Conceptualization : Mastering this Competency with Ease and Confidence / Len Sperry, Jon Sperry

by 오송인 2021. 3. 12.
반응형

 

사례개념화는 어떻게 하는 것인가? 라는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질문에 대한 답을 주는 책입니다. 사례개념화만 집중적으로 다루는 책이 생각보다 많이 없는 편인데 그런 상황에서 초심 상담자나 임상가에게 도움을 줍니다.

 

저는 이 책을 상담심리사 2급 면접 준비하다가 알게 됐고, 상담심리사가 되기 위해 수련하는 사람들이 한 번쯤은 보는 책인 것 같아서 기억해 두었다가 지난 1월부터 스터디를 통해 함께 읽었습니다.

 

다른 글에서도 얘기했지만 사레개념화의 개념과 세부적인 요소들을 다루는 1장부터 4장까지의 내용은 정말 알차다는 느낌입니다. 어렴풋하게만 알고 있었지 상세히 도식화해 본 적은 없는 내용들이 그림이나 표를 통해 일목요연하게 정리돼 있기 때문에 머릿속에 사례개념화의 기본 틀을 다잡는 데 유용합니다.

 

저자는 진단적 / 평가적 / 임상적 및 문화적 / 치료적 공식화(formulation)를 사례개념화의 네 가지 기본 요소로 언급하며 1-4장에서 하나 하나 설명합니다.

 

진단적 공식화는 말 그대로 진단을 내리기 위해 precipitant -> pattern -> presentation을 기술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pattern..is a succinct description of a client’s characteristic way of perceiving, thinking, and responding로 정의됩니다. 지각하고 생각하고 반응하는 저마다의 고유한 성격 특성인 것이죠. 치료적 공식화는 궁극적으로 이 패턴의 부적응적 특성을 변화시키고자 함입니다.

 

임상적 및 문화적 공식화는 패턴의 형성과 유지를 설명합니다. 즉 유발요인(predisposition)과 유지요인(perpetuants)를 식별하는 과정입니다. 저는 읽으면서 이 둘을 명확히 구분하는 게 가능한가 싶었는데 이 책의 어딘가에도 구별이 어려울 수 있다는 말이 있었던 것 같아요. 어찌 됐든 predisposition에는 꼭 부정적인 속성만 포함되지 않습니다. 환자나 내담자가 지닌 강점이나 보호요인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상담이론의 특색은 주로 이 predispositiontreatment focus(치료의 방향성이자 패턴을 변화시킬 수 있는 최적의 경로입니다)에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생리심리사회적 사례개념화에서는 당연히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predisposition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에 초점 맞춰 치료적인 개입을 할 것입니다. 인지행동적 사례개념화에서는 maladaptive cognitions, maladaptive behaviors를 확인하여 개입할 것이고, 단기역동 사례개념화에서는 cyclical maladaptive pattern에 대해 마찬가지로 할 것입니다.

 

이 책의 고유함은 다섯 사례를 통해 주요 심리치료 이론 각각에서 어떤 식으로 predispositiontreatment focus를 기술하는지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사례개념화의 어려움을 경험하는 초심 상담자가 수퍼비전 앞두고 보고서 정리하면서 들춰보기 좋은 책입니다.

 

치료적 공식화는 진단적 공식화와 임상적 공식화가 잘 돼 있다면 자연스럽게 나오는 것입니다. 저도 늘 반성하는 부분이지만, 심리평가 보고서에서 치료 제언이 잘 안 쓰이거나 피상적으로 쓰이는 것은 치료 경험이 부족해서일 수도 있지만, 그보다는 진단적 정확성을 확보했다 하더라도 임상적 공식화가 제대로 안 됐기 때문 아닌가 하는 생각을 요즘에 많이 합니다. 무엇이 문제고 그 문제가 어떻게 발달해 왔고 이제 뭘 해야 하는가라는 질문 중 가장 마지막 질문에 대한 답이 치료적 공식화인데, 문제를 알았더라도 문제가 발달하는 방식은 저마다 다르기 때문에 그 개별성을 이해하지 못하면 이제 어떻게 해야 하지? 라는 질문 앞에서 멍해질 수밖에 없겠죠.

 

임상적 공식화까지 잘 돼 있다 하더라도 이 책에서 제시하는 치료적 공식화의 세부 요소들을 숙지하고 있다면 조금 더 유용할 수 있겠습니다. 치료의 초점, 목표와 전략, 개입 방식, 예상되는 장애물과 저항, 예후 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책의 단점은 각 이론의 사례개념화 방식을 다루는 5장부터 9장까지 비슷한 내용을 copy & paste한 것 같을 때가 많다는 것입니다. 동일한 다섯 사례의 백그라운드 정보가 매 장마다 반복되기 때문에 상당히 지루합니다. 이로 인해 동일한 사례로 각 이론에 따른 사례개념화의 차이를 부각시키려는 이 책의 목적이 조금 퇴색하는 느낌이 있어요. 더욱이 아들러 이론에 입각한 9장은 각 사례의 치료 목표가 다 비슷합니다. 이것이 아들러 이론의 한계인지 저자의 피상적 기술 때문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장에 걸쳐서 뿐만 아니라 같은 장 안에서도 같은 내용을 다시 읽는 듯한 기시감이 강합니다. 문제중심적 사례개념화를 다루는 8장에서도 성격 문제를 지닌 어떤 사례는 치료 목표가 상당히 피상적으로 기술돼 있고, 문제중심적인 방식을 적용하면 안 되는 사례에 무리하게 적용한 결과가 아닐까 해요.

 

2021.01.16 - [영어공부/원서 읽기] - Case Conceptualization(by Len Sperry, Jonathan Sperry). 1 Case Conceptualizations: An Overview

2021.01.23 - [영어공부/원서 읽기] - Case Conceptualization(by Len Sperry, Jonathan Sperry). 2 Assessment and Diagnostic Formulations & 3 Explanations and Clinical and Cultural Formulations

2021.01.31 - [영어공부/원서 읽기] - Case Conceptualization(by Len Sperry, Jonathan Sperry). 4 Treatment Planning and Treatment Formulations

2021.02.22 - [영어공부/원서 읽기] - Case Conceptualization(by Len Sperry, Jonathan Sperry). 6 Cognitive-Behavioral Case Conceptualizations

2021.03.09 - [영어공부/원서 읽기] - Case Conceptualization(by Len Sperry, Jonathan Sperry). 8 Solution-Focused Case Conceptualizations

2020.10.30 - [영어공부/원서 읽기] - Collaborative Case Conceptualization: Working Effectively with Clients in Cognitive-Behavioral Therapy / Willem Kuyken, Christine A. Padesky, Robert Dudley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