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임상심리학/┗신경심리23

실행기능 측정을 위한 검사 선택 시 고려해야 할 다섯 가지 사항 1. 실행기능을 측정하는 지금까지의 검사들은 대체로 그것이 실제로 무엇을 측정하는지에 관해 알려진 바가 적음. 더욱이 검사에서 나타난 수행상의 어려움이 실생활에서 환자의 기능 수준에 관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명확히 알려지지 않음.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 시간이 허락 하는 한도 안에서 가능한 한 다양한 검사를 실시하여 각기 다른 기능을 측정할 수 있음. 다만 이로 인해 false postive result가 나타나기 쉬움.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검사 실패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에 관해 유용한 해석을 내리기 어렵다는 점임. 2. 검사의 심리측정적 속성을 고려해야 한다. parallel form이 있는지, 같은 검사를 사용해서 반복 측정해도 되는지, 여러 사람이 동일한 사람을 평가할 수 있는지 .. 2019. 12. 30.
Go/No go Test와 Stroop Test CR 과제에서 측정하는 요인의 차이 From another standpoint, the Go/NoGo task might simply assess the ability to inhibit the execution of motor responses, while the cwm Stroop task might assess the ability of the subject to exert inhibition or interference control in higher cognitive tasks that involve working memory or flexible set shifting. 출처: http://www.lib.okayama-u.ac.jp/www/acta/pdf/66_5_377.pdf 두 과제 모두 flexible set shiftin.. 2019. 11. 19.
SNSB에서 borderline과 abnormal의 기준(Z점수와 percentile) Z score -1.0 = 15.87%ile Z score -1.5 = 6.68%ile 이와 같은 기준에 따라 16%ile부터 8%ile까지는 borderline, 7%ile 이하는 abnormal로 분류합니다. 이는 물론 정규 분포를 따르는 검사들에 한해서입니다. 2019. 11. 15.
시공간 구성 능력과 치매 시공간 구성 능력이란? 시공간 구성 능력은 주변에 '무엇'이 있는지 인식하고 그것들이 '어디'에 있는지 사물 간의 공간적 관계를 해석하는 능력입니다. 시각적 및 공간적 지각과 해석을 모두 포함합니다. 시공간 구성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치매 알츠하이머형 치매, 혈관성 치매, 루이소체 치매, 파킨슨병에 수반된 치매 등에서 시공간 구성 능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초기 전두-측두 치매에서는 시공간 구성 능력의 손상이 뚜렷하지 않을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치매가 진행될수록 시공간 구성 능력이 저하되는 양상을 보이기 쉽습니다. 시공간 구성 능력 손상의 결과 시공간 구성 능력의 손상은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야기합니다. 1) 깊이 지각이 제대로 안 돼 발을 헛디뎌 넘어질 위험이 큽니다... 2019. 11. 13.
인지 기능 평가에서 고려해야 할 약물의 영향력 마지막 약물 사용으로부터 경과한 시간: 중독이나 금단에 의해 수행이 영향 받고 있을 가능성 고려 Lifetime use: 과도한 약물 사용의 기간이 있는지, 그 기간이 얼마나 길었는지, 금단에 따른 영향력이 완전히 제거됐는지, 약물 사용으로 인한 인지 기능에서의 영구 결함을 지녔을 가능성은? 처방된 약물을 복용한 기간: 복용 약물이 치료적 효과를 내기 시작했는지, 약물 사용으로 인한 초기 인지적 부작용에 내성이 생겼는지? 복합적 약물 사용: 부수적인 약물이 원래 사용하던 약물로 인한 부작용을 억제하는 효과를 내고 있는지, 예를 들어 알코올에 수반된 약물(예, 니코틴)이 인지 기능 저하를 억제하는 것은 아닌지, 불법적인 약물이 복합적인 약물과 알코올 사용에 수반되고 있지 않은지. 약물의 치료 효능으로 인한.. 2019. 11. 10.
GDS와 CDR의 관계 GDS CDR 진단 3-4 0.5 MCI 5 1 Dementia 6 2-3 Dementia 황금률이 아니기 때문에 당연하게도 항상 이런 식으로 1:1 대응하는 것은 아닙니다. CDR 2점인데 GDS 5점인 경우가 있을 수 있고, CDR 1점인데 GDS 4점인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관계를 염두에 두고 평가를 진행하면 좋습니다. 출처: Alistair Burns 가 쓴 Dementia 1판. 2019. 9. 20.
Dementia +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Study 병원에서 신경인지장애 평가를 많이 하지만, 하면 할수록 공부가 부족하다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이에 오픈챗 통한 [Dementia +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Study를 구상 중입니다. David Ames 등이 에디터인 Dementia(4판)와 Muriel Lezak이 쓴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5판)를 일부 챕터만 뽑아서 읽을 것 같은데, 다른 쓸 만한 교재는 없는지 한글 교재 비롯하여 검색 중입니다.(교재 추천 받아요.) 임상심리전문가 및 수련생 대상 스터디입니다. 참여할 의사를 지닌 분이 있는지 수요 확인하고자 하니 참여하고 싶은 분은 덧글 부탁드려요. 개인정보는 안 밝히셔도 되고 [참여하고 싶다/아니다] 정도로 덧글 달아주시면 되겠습니.. 2019. 7. 1.
치매의 선별 검사법 SDQ cut-off 찾다가. 출처: 치매의 선별 검사법 2019. 1. 31.
MMSE-K와 K-MMSE 차이 출처: 클릭 2015. 6. 15.
신경심리 시험 대비 1. 신경심리평가의 목적과 목표1) 목적 : 뇌 손상으로 인한 심리적 기능의 손상과 정도 측정, 보존된 기능의 확인 및 설명2) 목표 : 변별 진단, 치료계획 설정, 회복 예후 예측, 법적 자문 등 2. 결과 해석 시 고려해야 할 변수연령, 성별, 손잡이, 교육 수준, 병전 기능 3. 병전 지능 추정법1) 가장 잘한 검사 점수를 토대로. 단점: 병전 지능 과대 추정2) 뇌 손상에 민감하지 않은 검사를 토대로. 단점: 손상의 영향을 아예 안 받는 검사는 없다고 봐야 함3) NART4)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토대로 한 회귀방정식 4. Battery approaches VS. Process approaches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 5. 검사-재검사에 영향 미치는 요인연습효과 6. Neural Basis of M.. 2015. 2.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