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23 Endnote 웹페이지 or 웹리소스 인용 클릭 위에 설명돼 있고,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대한신경정신의학회 양식인데 다른 저널도 비슷할 것입니다. Lee SH. Development of psychiatric treatment model for North Korean defectors [Internet]. Seoul: National Medical Center;2012 [cited May 3, 2013]. Available from: http://goo.gl/MLafpO. 이번에 알았는데 이런 레퍼런스 양식을 너무 꼼꼼하게 다 맞출 필요는 없습니다.최종 교정 봐주는 강박 돋는 전문가들이 있으니 그 분들 손에 맡기면 됩니다.돈이 좀 들겠죠? 2014. 12. 23. Endnote Journal Abbreviation이 없는 경우 직접 입력하는 방법 논문 한 편 쓰고 말 거면 이런 거 안 배워도 됩니다. 그냥 수작업하는 게 빠르죠. 하지만 논문은 내가 쓰고 싶어서 쓴다기보다 외부 압박으로 인해... (쿨럭) 언제 외부 압박이 올지 모르니 이런 팁은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논문은 형식상의 규정된 디테일을 맞추는 것이 통계 자료 다루는 것보다 더 까다로운 것 같아요. 시간도 많이 뺏기고.. Tools -> Open Term Lists -> Journals Term List -> 약어 없는 저널 선택하시고 -> Edit Term Abbreviation 1에 저널 약어 입력해 주시면 끝. Abbreviation이 1, 2, 3가 있는데 경우에 따라 1양식이 아닌 2나 3 양식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건 중요치 않으니 pass 아.. Abbreviation은 이.. 2014. 12. 23. Modsdive - Irrevocable 잘한다 진짜. 뭔가 최첨단의 느낌이랄까.. ㅎㅎ 2014. 12. 19. 2014년 결산 올해의 앨범 - This Patch of Sky - S/T- Wang Wen - Eight Horses- cecilia::eyes - Disappearance 올해의 영화 - HER- 프랭크- 인터스텔라 올해의 책 - 죄와 벌- 우린 뭣 때문에 달리고 있지?- 도정신치료입문 올해의 사건 - 2014 후지락페스티벌 - 논문 출판- 밴드 공연 올해의 플레이스 - 방배 더부스- 덕유산- 영덕 블루로드 내년의 기대되는 일 - 2015 후지락페스티벌 - 자전거 국토 종주- and many more 2014. 12. 18. KT Tunstall - Universe And U 좋아하는 또 다른 여성 싱어송롸이러 2014. 12. 17. 로샤검사에서 나타난 ADHD 아동의 심리적 특성 / 배금예 본 연구는 로샤검사를 사용하여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의 다양한 심리적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1-6학년 중에서 ADHD로 선정된 30명과 연령 및 학력 수준을 매치한 정상 아동 29명이었다. 연구결과, 두 집단간에 연령과 학력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전체 IQ에서도 차이가 없었으나 ADHD 아동이 주의집중 지표점수에서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ADS에서도 누락오류와 오경보오류 및 반응시간 표준편차에서 ADHD 아동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는 반면에 d`(민감도)에서 ADHD 집단이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ADHD 아동이 부주의성, 충동성, 탈억제와 같은 고유의 행동 특징이 분명하고 표적 자극과 비표적 자극을 변별하는 반응 민감.. 2014. 12. 10. 아동 로샤 검사에 있어 표준화된 방식과 수정된 방식의 비교연구 / 박진희, 조선미 본 연구는 표준화된 방식으로 로샤 수행이 어려운 아동에게 수정된 방식을 사용하고자 할 때 적용된 방식에 따라 로샤 반응에 차이가 발생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는 초등학교 1, 2학년 아동 52명을 대상으로 10개 카드에 대해 모두 반응한 후 질문을 하는 표준화된 로샤 검사 방식과 각각의 카드의 반응이 끝난 후 질문을 하는 수정된 방식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검사에 미치는 검사자의 개인차 변인을 통제하기 위해 검사 지시를 일치시키고, 여러 번의 토의와 지도감독을 실시하였다. 채점은 Exner의 종합체계를 사용했으며, 채점자간의 일치도를 높이기 위해 한 채점자의 채점을 다른 채점자가 재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109개의 구조요약 변인 중 Dd, SumShd, Fd, DVI, .. 2014. 12. 10. 우린 뭣 때문에 달리고 있지? now reading. 우주를 한 번 가보고 싶은데 그건 현실적인 제약이 크니 조금 더 현실적인 자전거 세계일주가 좋을 것 같다. ㅎㅎ이 책에 보면 훌륭한 인생보다 잼있는 인생을 살고 싶다 뭐 그런 얘기가 나오는데 공감된다.남들 눈에 좋은 인생 살아도 자기가 안 즐거우면 그것만큼 비극적인 삶이 있을까. 껍데기뿐인 삶.남들 눈을 완전히 의식하지 않는다는 것도 문제이긴 하지만 자율과 책임을 양립시킬 수 있는 한 자기 소신대로 즐겁고 재미나게 살아도 된다. 1년 반 뒤에 난 이 책 쓴 아저씨처럼 중국이나 동남아 어딘가를 달리고 있을까?궁금하다. 51% 정도의 가능성. 겁이 많아서 굉장히 예방초점적으로 사는 인생인데, 가끔 무모해 보이는 도전을 할 때가 있다.대학교 1학년 여름방학 때 국토 종주한 것도 그렇고 .. 2014. 12. 9. 퐁네프의 연인 친구 새와 함께 신나게 하늘을 날아다니는 꿈을 꿨다. 그런데 결말이 좀 특이했다. 새가 된 내가 새의 발로 누군가(아마도 친구 새)의 커다란 눈에 박힌 못 같은 걸 빼줬는데 얼마 못 가 그 눈의 색깔이 누르스름하게 변하더니 결국 생명력이라 할 만한 것을 완전히 잃어버렸고 그렇게 꿈에서 깼다. 어제 퐁네프의 연인을 극장에서 봤는데 거기 보면 여주인공 미셸(줄리엣 비노쉬)의 눈이 점점 멀어간다. 그런 미셸을 사랑하는 노숙자 알렉스(드니 라방). 두 사람의 순진무구한 사랑은 너무 순수해서 약간 미친 것처럼도 보이는데, 그 모습이 마치 두 마리 새가 하늘에서 자유롭게 유희를 즐기는 형상이다. 하지만 영화를 보는 내내 알렉스가 미셸을 죽이는 건 아닐까 걱정되기도 했다. 물론 영화는 비극이 아니라 해피엔딩이다. 내.. 2014. 12. 8. 동기의 개념 동기는 목적 지향적이고 의도적이며 긍정적인 것으로, 개인이 최대의 이득을 향해 나가도록 하고, 변화하고, 그것을 유지하고 고수하도록 만드는 모든 가능한 것들을 의미한다. 중독과 동기면담, X쪽. 2014. 12. 5. 이전 1 ··· 158 159 160 161 162 163 164 ··· 19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