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23 operational criteria checklist for psychosis에 기반한 DIP psychotic symtom을 비롯하여 증상 체킹할 때 유용한 자료입니다. 증상에 관해 질문을 하긴 해야겠는데 뭘 물어보고 어떤 식으로 물어봐야 하는 건지 아직 체계화가 되지 않은 사람(저 포함)에게 유용한 자료가 아닐까 합니다. 챠트 리뷰하고 감별진단 생각한 후에 이 체크리스트에서 물어볼 증상을 몇 개 추리는 것이 효율적인 인터뷰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공부합시다~ http://www.health.wa.gov.au/ccrn/docs/CCRN_DIP_DM.pdf 2014. 10. 7. 덕유산 1박2일 19km 산행 (2일차) 아침. 기온이 8도인데 바람 불어서 영하 같았습니다. 거대한 구름이 산을 집어삼키는 듯한 모습이 경이로웠습니다. 이번 산행길의 가장 아름다운 모습이었는데, 동영상에서는 그 느낌이 잘 살지 않아서 아쉽네요. 구절초 남덕유산 오르는 길이 가장 힘든 구간이었습니다. 저 철계단이 사진으로는 별로 안 무서워 보이는데 실제로 다리가 후들거릴 정도로 무서웠습니다. 비나 눈 오는 날엔 매우 조심해야 할 구간. 출발 직전에도 갈까말까 고민했는데 다녀오니 역시 좋네요.덕유산은 늘씬한 여자 몸처럼 굴곡이 빼어난 산입니다. 눈이 호강했네요. ㅎ 2014. 10. 6. 덕유산 1박2일 19km 산행 (1일차) 작년에 지리산 하산하면서 내년에는 덕유산을 가야겠다 생각했는데, 마침 시간이 맞아서 다녀 왔습니다. 지리산, 덕유산을 가 봤으니 이제 한라산이나 설악산을 한 번 가보고 싶네요. 시간 관계상 무주리조트에서 곤돌라 타고 설천봉까지 올랐습니다. 설천봉에서 600m쯤 올라가니 덕유산 최고봉인 향적봉이었습니다. 사진 한가운데 희미하게나마 지리산 천왕봉도 보입니다. 산은 참 다양한 모습을 지니고 있다는 걸 이번 산행에서 다시금 느꼈습니다. 매순간 느낌이 다르네요. 1박했던 대피소인데, 아저씨들 코 골아서 잠을 못 잤습니다. 맥주하고 소주 가져가서 섞어 드세요. 이런 대피소는 대개 강력한 수면제 없이는 잠 들기 힘든 환경입니다. ㅎ 2014. 10. 6. rumination responses scale 원문항 ruminative styles questionnaire라고도 부름.출처: http://www.yale.edu/snhlab/Nature%20of%20cognition_files/Treynor,%20Gonzalez,%20&%20Nolen-Hoeksema,%202003.pdf 2014. 10. 3. 자살 위험 요인 자살 위험 요인 1. 만성질환2. 고령3. 낮은 경제력4. 가족 중에 자살한 사람이 있는 경우5. 실제 자살 시도 유무(특히 아무도 안 보는 데서 혼자 시도했던 경우)6. 가족 내 소외감 2014. 10. 2. 로샤 전체 반응 수 전체 반응 수를 검토하는 이유는 해석을 내릴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정도로 전체 반응이 표집되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대부분의 성인은 평균 반응수가 17-27개 사이에 있는데, 만약 성인의 반응이 17개 이하이거나 27개 이상인 경우, 위치반응이나 결정요인이 영향을 받게 되므로 규준자료를 적용하는데 논리적 설명이 추가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반응이 지나치게 적은 경우 거의 모든 반응이 형태반응에 국한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 경우 형태반응의 의미를 그대로 적용하여 해석하는 것은 무리이고, 반응 수 저하에 따른 결과라는 논리적 추론이 있어야 한다. 한국 성인의 경우 평균 반응 수는 11-27개이므로 최저 반응수 11개 이하일 경우 형태 반응을 해석함에 있어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것이다. 전문가를 위한.. 2014. 9. 26. 통계적 사고방식 클릭(회원 가입해야 다운 받을 수 있다. 통계교육원이라는 데서 만든 사이버 강의 자료인 듯함) 표본 데이터는 늘 표집오차가 있게 마련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표본을 통해서 모집단 특성을 추론해 낸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이 중심극한 정리 및 표준오차 개념인데 이해가 잘 안 된다. 표준오차 공식을 보면 모집단의 표준편차가 필요함을 알 수 있는데, 사실 모집단 표준편차를 안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울시에 있는 모든 Major Depressive Disorder 환자의 BDI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할 수 있겠는가? 결정적으로, 이 점수들을 알면 우리가 가진 표본으로 추론할 필요 자체가 없어지게 된다. 추론하고자 하는 값을 이미 다 아.. 2014. 9. 24. 회귀분석의 종류 출처: 클릭 다른 변수 보정은 위계적 회귀분석만 가능한 것 같다. 2014. 9. 17. Radiohead - Let Down 살면서 이런 멋진 곡 하나 만들 수 있을까.. 2014. 9. 17. 양극성 장애에서 환청 Auditory hallucinations feature prominently in many psychiatric disorders. It has been estimated that approximately 75% of people with schizophrenia experience auditory hallucinations. These hallucinations are also relatively common in bipolar disorder (20% to 50%), in major depression with psychotic features (10%), and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40%).2 - See more at: http://www.psychiatr.. 2014. 9. 16. 이전 1 ··· 161 162 163 164 165 166 167 ··· 19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