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임상심리학/정신병리104

[정신과 임상심리전문가의 정신장애 이야기 #33] 적대적 반항장애, 품행장애, ADHD: 문제행동이 발생하는 토양을 들여다보기 DSM-5나 ICD-10의 정신장애 진단기준은 관찰가능한 증상에 근거할 때가 많고, 이는 임상가 사이의 진단일치율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하지만 관찰가능한 표면 증상에 비중을 두어 정신장애 진단을 내리게 되는 것의 맹점은 그 증상이 발생한 발달적/성격적 토양을 간과하기 쉽게 만든다는 데 있습니다. 이러한 맹점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는 진단 중 하나가 적대적 반항장애와 품행장애, ADHD 등입니다. 이 진단은 아동 및 청소년이 보이는 외현적 ‘문제’ 행동에 거의 전적으로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주지하다시피 진단의 목적은 치료를 하기 위함입니다. 그런데 진단 자체가 문제 행동에 맞춰져 있다 보니 그 문제 행동이 발생하는 토양은 치료 초점이 되기 어렵습니다. 아동 및 청소년이 보이는 문제 행동은 거의 열에.. 2019. 10. 15.
[정신과 임상심리전문가의 정신장애 이야기 #29] 수동공격 성격에 관한 소고 DSM-III에서 정식 진단으로 수동공격(Passive-Aggressive) 성격장애가 배치돼 있었으나 DSM-IV에서 부록 부분으로 그 위상이 격하됐다. DSM-5에서는 아예 삭제되었다. 하지만 임상에서 수동공격 성격장애의 개념은 여전히 유효하다. 연극성도 아닌 것 같고, 자기애성도 아닌 것 같고, 경계선도 아닌 것 같은 상황에서 수동공격 성격장애 개념이 감별진단에 도움이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지만 정식 진단이 아니기 때문에 이 장애를 배우기란 쉽지 않다. 대학원에서도 못 배웠고 수련 중에 Theodore Millon의 책을 스터디하게 된 것을 계기로 이 장애의 ‘존재’를 알게 됐으나 그 때는 보고서 쳣내고 논문 쓰기 바쁘던 시절이라 제대로 공부할 겨를이 없었다. 최근에 밀론의 책을 다시 보면서 .. 2019. 8. 28.
수동공격과 경계선 기질의 구분 TCI에서 수동공격과 경계선의 차이는 사회적 민감성인데(각기 고/저), 수동공격의 핵심 특성이 양가성과 정서적 불안정성이며 이런 특성이 심해지면 경계선으로 넘어간다는 점에서, 정도의 차이일 뿐 명확한 구분이 어려울 수 있다. 연속선상에서 이해해야 함. 2019. 7. 26.
병리적 성격이란 Most persons acquire styles of relating to others that enable them to achieve an optimal level of satisfaction and security, as well as to maintain a reasonable degree of self-harmony. So-called normals may be differentiated from pathological personalities by the variety and character of the strategies they employ to achieve these goals. Healthy personalities draw on their strategies flexibly as.. 2019. 7. 26.
Complex PTSD = PTSD + BPD ? Complex PTSD = PTSD + BPD ? Differentiating symptom profiles of ICD-11 PTSD, complex PTSD,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latent class analysis in a multiply traumatized sample. 출처: Personal Disord. 2019 Jul 1. doi: 10.1037/per0000346.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PTSD) has been included as a diagnostic category in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11th Edition, co.. 2019. 7. 24.
사고장애란 Concept Formation 1)추상화 능력의 장애 2)너무 concrete하거나 너무 over inclusive한 경우. Cognitive Focusing 1)적절한 자극에 초점을 맞추지 못함 2)불필요한 연상을 억제하지 못함 Reasoning 1)추론 과정의 문제로 독립된 아이디어간에 경계가 분명치 않음. ex) 너도 안경 썼고 나도 안경 썼으니 너=나 Reality Testing 1)로샤에서 지각적 정확성 떨어지는 것 2)어디까지가 내 마음이고 어디까지가 현실인지 경계가 모호함. Modulation of Affect 1)사고장애의 한 측면은 정서조절의 어려움 2)정서가 인지적 활동에 침범해서 사고를 교란함(ex. 지적 능력 평균 범위인 사람이 Card II나 VIlI 등 색채 자극 뚜렷한 카드에.. 2019. 7. 23.
[정신과 임상심리전문가의 정신장애 이야기 #27] 신경성 폭식증 및 거식증 록산 게이가 쓴 [헝거]를 읽는 중이다. 남자친구라고 여겼던 이로부터 당한 10대 시절의 집단성폭력으로 인해 자신이 얼마만큼 무너지게 됐고, 성적 대상이 되지 않기 위해 폭식을 반복하며 살을 찌울 수밖에 없었던 과거에 관해 지나친 자기연민 없이 덤덤하게 얘기하고 있다. 비만한 사람을 바라보는 은근한 사회적 조소와 멸시를 어떤 식으로 경험해 왔는지, 자신의 거대한 몸을 줄일 수 없으니 심리적으로 위축시키기라도 해야 할 것 같은 데서 경험하는 온갖 감정들은 어떤 것인지가 책에 고스란히 적혀 있다. 분노, 슬픔, 자조, 수치심, 죄책감, 모멸감 등을 읽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런 표면적인 내용보다 그가 어떤 식으로든지 간에 스스로의 삶의 통제권을 지켜나가려고 하는 의지에 방점을 두어 읽게 된다. 문신으로 내가 .. 2019. 5. 24.
[정신과 임상심리전문가의 정신장애 이야기 #25] 정신건강을 바라보는 관점: 증상 감소에서 주관적 경험의 이해로 (part 1) Psychological Wellness: What Has Happened to our Understanding of Mental Health? 어제, 오늘의 영어 공부 교재다. 강연 초반에 DSM 진단 체계를 비판하며 시작하는데 구구절절 공감이 된다. DSM은 그 시작이 어떠 했든지 간에 현재로서는 인간이 아닌 증상에만 포커스를 맞추는 쓸모 없는 진단 체계로 변질됐다고 본다. DSM은 심리적 어려움을 몇 가지 정신장애 범주로 나눈 뒤 그 각각의 정신장애에 해당하는 증상들의 집합을 나열하는 데 그친다. 진단을 위한 진단을 이끌어내는 도구이며, 전문가들 사이의 의사소통 편의를 도모한다는 기능적인 측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현화된 몇몇 행동과 증상을 토대로 인간의 심리적 어려움을 정의내리려 하는 시도 자체.. 2019. 1. 29.
[정신과 임상심리전문가의 정신장애 이야기 #24] 경계선 지적 기능과 정신 건강(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and Mental Health) 정신장애 연재글을 빙자한 유투브 영어 듣기 공부입니다. 힘을 좀 빼고 써볼까 합니다. 201*년에 수도권에 위치한 모 보육원 아이들 40명 정도를 대상으로 종합심리평가를 진행한 적이 있습니다. 종합심리평가에는 표준화된 지능검사가 포함되는데 지능검사 결과에서 경계선 수준의 전체지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나는 아이의 비율이 높다고 느꼈습니다. 경계선 수준의 전체지능이라 함은 DSM-IV(IV인지 IV-TR인지 헷갈리지만..)에서 IQ 71부터 84까지로 정의내리고 있습니다. 전체 인구가 100이라면 그 중 70명 정도는 IQ 85에서 115 사이에 위치하게 됩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표준화된 웩슬러 지능검사 평균이 100, 표준편차가 15를 고려할 때 그렇습니다. IQ 84 이하는 100명 중 15명, .. 2019. 1. 26.
아동청소년에서 ADHD, Tic, OCD 간 유전적 취약성의 중첩 가능성 출처: Geller, D., Petty, C., Vivas, F., Johnson, J., Pauls, D., & Biederman, J. (2007).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n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Familial Risk Analysis. Biological Psychiatry, 61(3), 316–321. 2018. 12.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