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23

죄와 벌을 읽다가.. 고리대금업 하는 노파 하나를 죽이면 만인이 행복하다. 이성을 신봉하고 공리주의로 무장된 라스콜니코바가 도끼로 노파의 정수리를 찍어 버린 표면적인 이유는 이런 것이었다. 1800년대는 계몽주의가 지배하던 시대니 이해할 법도 하다. 이성이 신으로부터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하기 시작한 이후로 가치의 기준점은 '보다 많은 사람의 행복'으로 전환됐는데, 이 행복이란 것은 아무리 아름답게 포장하려 해도 결국 개인의 쾌/불쾌에 따른 것으로서 홉스식의 약육강식 논리를 토대로 했고, 보다 많은 사람의 행복이 아니라 저마다의 욕망과 쾌락이 최우선인 그런 행복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었다(그리고 딴 얘기지만 이게 자본주의의 논리라고 생각한다). 철저하게 이성적이었던 라스콜니코바가 살인을 하게 되는 과정을 나는 이런 맥락에서 이해.. 2013. 7. 1.
서울숲∙남산길 서울숲 서울숲 구름다리 구름다리 끝 지점 금호동 매봉산쯤에서 바라본 남산 최근 산 워커. 아주 맘에 든다. ㅋㅋ 한여름에는 발에 땀차는 워커지. 최근에 생긴 코스라 그런가. 이정표가 제대로 돼 있지 않아서 꽤 헤맸음. - 대략 10km남짓을 쉬엄쉬엄 네 시간 동안 걸었다. 서울숲에서 응봉산으로 가는 구간이 공사로 폐쇄되었던 까닭에 좀 헤맸는데, 덕분에 서울숲 구름다리의 아름다운 view point도 발견하고.. 돌아가는 길목에서 발견한 이런 멋진 풍경에 감사했다. - 중랑천 무지개다리쯤에는 자전거 라이딩을 즐기는 많은 사람들이 있었고, 다리를 건너자 KTX인지 3호선인지 모를 열차가 머리 위로 지나가는데, 이런 일련의 장면들이 서울이라는 도시가 연주하는 음악처럼 느껴졌다. - 금호동으로 오니 빗방울이 한.. 2013. 7. 1.
CARS 점수 기준 2013. 6. 26.
양극성 장애의 이해 대한우울.조울병 학회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양극성 장애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배포한 안내 책자임. 클릭 2013. 6. 26.
KT Tunstall - Chimes, Yellow Flower 혼자 북치고 장구치고 잘하는 KT. 산들거리는 봄바람 같은 몸짓에 고혹됨. 이번 앨범에서 가장 맘에 드는 곡은 이거임. 1분 40초부터인가 곡 시작. 2013. 6. 26.
어깨에 힘 빼기 2003년 네이버 블로그를 시작으로 이글루스로 갔다가 2006년인가 여기로 이사와서 2009년까지 일기를 꽤 썼다(물론 지금은 거의 비공개로 돌려 놨다). 심심해서 다시 몇 개 봤는데, 나의 20대는 필요 이상으로 진지하고 어깨에 힘이 많이 들어갔었구나 싶다. 심지어 꼬꼬꼬마 때도 피아노 선생님이 어깨에 힘 좀 빼라고 강조했던 걸 보면 늘 뭔가 경직된 애어른 상태였던 것 같다. 같은 맥락에서, 대학원 심리평가 수업에서 선생님이 힘을 좀 빼야 할 것 같다고 말한 게 이제 이해가 된다. 상담이든 검사든 뭐든 운동과 비슷한 것 같다. 처음부터 너무 잘하려고 하면 진도 못 나가고 제풀에 나가 떨어진다. 처음부터 고중량 치면 헬스장 삼일도 못 채우고 헬스장에 돈 갖다 바치는 거고, 처음부터 자유형하려고 하면 몸 .. 2013. 6. 25.
일부 로샤 변인들의 시간적 안정성 / 엑스너 등(1978) 100명의 성인 비환자 집단을 대상으로 3년 후에 재검사해서 상관을 살폈음. 참고로 ep는 es임.아래 두 표를 보면 거의 대부분의 지표들에서 높은 상관이 나타나고 있다.사람은 '잘 안 변해'라고 결론 내려도 될 것 같은..조금 더 연상을 이완시키면, 그러니까 배우자나 연인의 성격(행동패턴)을 바꾸겠다는 헛된 기대 따위는 버리고그 전에 너 스스로를 바꾸라는 깊은 뜻이 아래 표에 함축돼 있는 것임. ㅋㅋ 2013. 6. 21.
HTP, 죽은 나무를 그린 경우 피검자가 나무가 죽은 것이라고 대답한다면 이는 '나는 죽은 것과 다름없음'을 상징할 수 있는 것으로, 대부분 상당한 부적응적 양상 혹은 정신병리적 특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사회적으로 매우 위축되어 있는 정신분열증 환자, 우울증, 기타 다른 신경증 환자에게서 고루 나타날 수 있으며, 치료 예후가 부정적일 소지가 높다.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 118쪽. 이런 반응은 거의 없었다. 2013. 6. 14.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 행동심리증상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도 흔히 나타나는 중요한 증상이다. 알츠하이머병의 주된 증상은 기억력장애를 비롯한 인지기능장애이지만, 보호자에게 고통을 주고 결국 요양시설에 입소하게 되는 주된 이유는 행동심리증상인 경우가 많다. 행동심리증상은 크게 행동증상과 심리증상으로 나눌 수 있는데, 행동증상은 공격성 증가, 의미 없는 배회, 부적절한 성적 행동, 소리 지르기, 욕하기, 불면증, 과식증 등이 있고, 심리증상으로는 불안 및 초조, 우울증, 환각, 망상 등이 있다. 경도인지장애에서는 우울/낙담, 무감동/무관심, 초조/불안이 자주 나타나고, 초기의 치매에서는 우울/낙담, 무감동/무관심이 자주 나타나지만, 대부분의 증상은 치매의 중.. 2013. 6. 10.
stand by me 86년에 개봉한 영화인데 어제 밤에 EBS에서 해줘서 정말 잼있게 봤다. 정서적으로 박탈된 어려운 가정 환경 속에서 자랐다는 것이 이 12살(우리나이로 하면 6학년) 꼬마들의 공통점이다. 그래서인지 죽이 잘 맞는다. 같이 모여서 담배도 피고 카드 놀음도 하고 여자 슴가 얘기도 하고 등등. 그런데 어느 날 몇 십 킬로미터 떨어진 철로 주변에서 동네 다른 꼬마가 시체로 발견됐다는 얘기를 동네 건달 형들로부터 엿듣게 되면서 이 네 꼬마의 1박2일이 시작된다. "걸어서 거기까지 가보자. 처음 시체를 발견한 사람으로서 방송 타고 유명해질 수 있어!" 이런 꼬맹이다운 동기를 가지고 철길 여행이 시작된다. 그 과정에서 저마다가 지닌 상처들이 하나씩 불거져 나온다. 먼저 제일 오른쪽 꼬맹이는 이름이 고르디인데 아빠가 .. 2013. 6.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