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23

심리평가 및 진단 과정의 목표 After all, the ultimate purpose of assessment is to narrow and to refine the number of hypotheses the clinician should entertain with respect to patient intervention. Disorders of Personality(3판), 129쪽. 세심한 심리진단 과정의 목표는 개인이 얼마나 '병적인가'를 평가하거나, 사회적으로 정의되는 정상의 범위를 넘어섰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한 사람의 고통의 특성과 강점을 이해함으로써 그 고통을 경감하고 강점을 살릴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정신분석적 진단, 207쪽. 2013. 5. 24.
호기심 아직 검사 초짜이긴 해도 검사 서너 시간 한 것보다 검사 다 끝나고 보여지는 행동이 그 사람의 많은 것을 드러내는 경험을 한두 번 하게 되니, 검사가 다 끝나고 어떤 모습을 보일까 호기심을 갖게 된다. 2013. 5. 22.
물질로 유발된 지속성 기억상실장애 성격상 변화가 있다 하더라도, 주의를 기울이는 데 어려움이 없고 단순한 문제 해결 능력이 있음. 숫자 외우기 같은 단기기억은 보존되지만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는 능력은 손상됨. remote memory 또한 손상될 수 있음. "지속성"이라는 말은 중독이나 금단 증상보다 훨씬 오래 지속된 물질의 영향을 가리키는 것임. 즉 관해된 상태에서도 기억상실은 지속됨(영구적 손상 가능성 높음). 작화증이 전형적 증상 중 하나이며, 영양 상태가 좋지 못할 수 있음. - DSM-IV Made Easy 참고함 - 2013. 5. 21.
Z점수 채점 시 유의사항 1. Z점수 채점 시 두 가지 조건에 모두 해당되면 더 높은 조직화 점수를 배점한다. 2. 관련성이 명백해야 한다. "두 사람이 다른 방향을 가리키고 있군요"는 조직화 점수를 채점하지 않지만 "두 사람이 어느 방향으로 가야 할 것인지의 문제로 싸우고 있군요"라는 반응은 채점한다. 3. 폐쇄성의 원리가 반영된 것은 Z점수를 채점하지 않는다. 아동.청소년 로샤의 이론과 실제, 133쪽. 이걸 최근에 알았다. 어이쿠.. 2013. 5. 20.
Hammock - Tornado Warning 오늘 같은 날씨에 어울리는 곡. 2013. 5. 19.
Structured Interview for Hoarding Disorder 클릭 이하 DSM-5 수집 장애 진단 기준(잠정적인 것임) A. 실제적 가치에 관계 없이 소유물을 버리는 데 있어 지속적인 어려움을 겪음 B. 이러한 어려움은 물건을 버리는 것에 연관되는 고통이나 물건을 보유하려는 강력한 추동으로 인한 것임 C. 수집 증상은 물건을 실제적으로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집이나 일터의 생활 공간 대부분이 물건들로 채워지고 어지럽혀지는 결과를 야기함. 만약 어지럽혀져 있지 않다면 가족 같은 제3자의 개입으로 인한 것임 D. 증상이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심각한 고통이나 장해를 초래함 E. 수집 증상은 일반적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님 2013. 5. 17.
F- 반응을 하게 만드는 요인 1. 내적 요구의 압력이 압도적이어서 2. 추동의 표현과 발산에 대한 방어로 인해 3. 반응을 구성해 낼 수 있는 연상의 자원이 빈약 4. 현실검증력 장애 5. 통합적 기능이 발휘되지 못하는 경우 사례로 읽는 임상심리학, 188-189쪽. 2013. 5. 17.
임상심리 대학원을 희망하는 학생들을 위해 대학원 진학을 위해 어떤 식으로 공부해야 하냐고 물어보는 분들이 한두 분 계셔서 그 분들에게 몇 년 전에 했던 답변을 블로그에 옮겨 봅니다. Good Luck~! 1. 뭘 공부하고, 어떤 책으로 어떻게 공부하나요? Atkinson & Hilgard's Introduction to Psychology, 15th Edition Susan Nolen-Hoeksema/Barbara Fredrickson/Geoffrey Loftus/Willem Wagenaar | Cengage Learning 마이어스의 심리학 David G. Myers / 신현정 김비아 역 / 시그마프레스 임상심리학 Timothy J. Trull 저/권정혜,강연욱 등 역 | 시그마프레스 현대 이상심리학 권석만 저 / 학지사 저 같은 경우 세 명.. 2013. 5. 15.
인지치료에서 자동적 사고 수정 시 주로 사용되는 3가지 질문 1. 증거가 있나? 2. 다른 식으로 생각해 볼 수 없겠는가? 3. 그게 사실이라 하더라도 진정한 의미가 무엇인가? so what? 2013. 5. 12.
Rust and Bone 크게 상관은 없을 것 같다마는.. 스포일러 있습니다. 스테파니와 알리의 사랑 얘기다. 근데 스테파니는 사고로 인해 두 다리를 잃은 여자고 알리는 변변한 직업도 없는 무명의 운동선수인데다 아들도 있다. 두 남녀가 어떻게 불이 붙게 될까. 이 영화는 별 대사도 없이 그 과정을 개연성 있게 담아 내고 있는데, 알리가 워낙 가식이 없고 본능(특히 성본능)에 충실한 사람이었기 때문에 오히려 스테파니처럼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 있는 여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지 않았나 싶다. 한편 여전히 오르가슴을 느낄 수 있는지 잘 모르겠다는 스테파니의 말에 테스트해 보자, 해보면 '직빵'으로 알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너스레를 떨던 알리도 이미 스테파니와 여러번 만난 후인 그 시점에서는 스테파니에게 사랑을 느끼고 있었을 것이.. 2013. 5.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