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영어공부/원서 읽기222

[23주차] Disorders of Personality: 20. Mistrustful Styles, Paranoid Types, Paraphrenic Disorders: The MPP Spectrum(pp. 972-978) Self-Righteously Mistrustful Personality Style에서 자율성과 통제감을 지키고자 편집증적 사고가 불거지는 인지적 양상이 자세히 묘사돼 있다면 Obdurately Mistrustful Personality Style에서는 강박성 성격 특성의 기저에 깔린 적개심과 적개심 표출에 따른 죄책감의 정서적 역동이 뚜렷하고, 실상 적개심을 투사하는 것도 자신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견지하는 것도 모두 주체가 자기인데, 이를 자각하기 어려우니 피해망상으로까지 발전할 수 있다는 부분이 이해가 잘 되는 느낌입니다. Obdurately Mistrustful Personality Style을 지닌 사람은 대부분의 시간을 정상적으로 보내지만 특정 topic과 관련하여 망상을 지녔을 수 있고, 이.. 2021. 8. 15.
[22주차] Disorders of Personality: 20. Mistrustful Styles, Paranoid Types, Paraphrenic Disorders: The MPP Spectrum(pp. 968-972) 투사/환타지 부분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자기 성격 특성이나 모티프를 못 보기도 하지만 다른 사람에게 이러한 것이 조금이라도 있을 경우 민감하게 알아차린다는 부분이 우선 눈에 들어옵니다. 성경 말씀처럼 사람은 자기 눈의 들보를 못 보는 만큼 남의 눈의 티는 잘 알아차릴 뿐만 아니라 이를 자기가치를 지키는 데 이용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정신내적 구조의 핵심은 경직성으로 정의되는데 이런 구조적인 취약성이 있기 때문에 MPP는 스펙트럼상의 mild form에서도 역기능이 뚜렷해지나 봅니다. 체스터 사례에서 잘 드러나고 있고요. MPP 유형 들어가기 전에, MPP가 워낙 이질적인 집단이기 때문에 일부 증상만 가지고 MPP를 속단할 수 없고, 유형을 구분해 놓았으나 이러한 구분이 임상 실제와 딱 들어맞는 것은 아.. 2021. 8. 6.
[7주차] Psychodynamic Therapy: 5. Core Psychodynamic Problems, Part I (pp. 105-121) 피터의 치료에서 유기 불안 취약성 및 혹독한 자기비판의 감소를 치료 목표로 둔다는 부분이 명쾌하게 다가오는데 실제적으로 어떤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일까 궁금해서 여기 레퍼런스로 나온 Busch의 책을 봐야 하나 싶었습니다. 아마존에서 목차를 보니 궁금증이 더 커지네요. 사실 우울증에 관해 얘기하고 있지만, 제가 느끼기에 피터 사례개념화에서 유기 불안과 거절에 대한 민감성, 이상화와 평가절하에 따른 분노와 좌절, 자기비판과 자기파괴적 행동 등을 고려할 때 BPD 사례개념화에 더 가깝지 않나 싶습니다. 특히나 절의 역전이 설명에서 환자가 경험하는 무력감에 공감하게 될 때 이것이 치료자 자신의 무력감과 무능감이라는 역전이 감정을 통해 치료자에게 상당한 고통을 안기기 때문에 환자와 거리두려 하는 태도를 보이기 .. 2021. 8. 6.
[번역과 오역의 사이에서] Conducting Psychological Assessment: A Guide for Practitioners (9) Step 3: Testing 3단계: 검사 시행 To repeat, no test is perfect; no measure is without flaws and grounds for criticism. 반복해 말하지만 완벽한 검사는 없다. 어떤 측정치라도 결점을 지니며 비판할 거리가 있다. While the testing battery is malleable, able to be altered throughout the process, it is best to err on the side of including too many assessments rather than too few. 평가 과정에서 검사를 변경할 수 있을 정도로 검사 구성에 유연함이 있다 하더라도 검사의 종류가 너무 적은 것보다는 많은 .. 2021. 8. 3.
[번역과 오역의 사이에서] Conducting Psychological Assessment: A Guide for Practitioners (8) Step 2: Selecting Tests 2단계: 검사를 선택하기 Based on the hypotheses generated from Step 1, the assessor selects a testing battery. 1단계에서 만들어진 가설에 따라 평가자는 검사 모음을 선택해야 한다. The specific parameters that inform this process are addressed in Chapter 2, but essentially, tests should be chosen based on an established set of criteria, which should include their own internal psychometric properties, what exactl.. 2021. 8. 2.
[6주차] Psychodynamic Therapy: 5. Core Psychodynamic Problems, Part I (pp. 88-105) 이번 주 분량에서는 두 가지가 좋았는데 우선 4장의 치료동맹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이 그렇네요. 틈틈이 보려고 일부만 의역해 봅니다. 치료 절차에 관해 간략히 설명하라. 치료 관계에 대한 호기심과 자기자각을 유지하라. 당신이 따뜻함, 열정, 지지, 환자의 대처 전략에 대한 공감적인 회의주의를 지닌다면 환자는 스스로의 문제와 패턴에 관심을 갖고 초점 맞출 수 있게 될 것이다. 불쾌하게 느껴지는 환자의 특성보다 호감 가는 특성을 찾아 주기적으로 그것을 상기하라. 스스로의 느낌에 초점 맞추기를 지속하라. 잠재적인 역전이 반응과 재연의 발생을 알아차리는 데 그것을 이용하라. 치료자로서의 핵심 과제인 듣기, 이해하기, 반영하기, 공감하기에 충실하라. 암묵적/외현적인 환자의 목표를 이해하려 노력하고 치료자와 환자가 .. 2021. 8. 1.
[번역과 오역의 사이에서] Conducting Psychological Assessment: A Guide for Practitioners (7) The second goal of the clinical assessment, specific to the hypothesis testing model, is to generate hypotheses. 임상 평가, 특히 가설 검증 모델에서의 두 번째 목표는 가설을 만드는 것이다. For this step, a thorough understanding of psychodiagnosis is necessary. 이 단계에서 심리진단에 대한 철저한 이해가 필요하다. General theories of behavior, regardless of theoretical orientation, are also extremely important. 이론적 지향과 무관하게 제반 행동 이론에 대한 이해 또한 매우 중요하다.. 2021. 7. 29.
[5주차] Psychodynamic Therapy: 4. The Therapeutic Alliance: Goal, Task, and Bond (pp. 71-85) 우선 치료동맹을 형성하는 치료자의 능력이 후천적으로 계발될 수 있다고 말하는 데서 왠지 모르게 조금 위안을 얻습니다. 치료동맹의 세 요소인 목표, 치료자 및 내담자 각각의 과제, 유대(bond)라는 세 가지 개념을 임상 사례로 알려줘서 이해가 잘 됐습니다. 치료동맹에서 목표의 중요성을 말하는 조지의 사례에서는, '그래서 더 무엇을 해야 하지?'라고 스스로에게 물어보았을 때 마땅한 답을 찾지 못하던 찰나에, 저자가 조지의 패턴(관계나 감정을 경험하는 그만의 방식) 및 아동기 애착관계와 현재 패턴의 관련성 등을 탐색해야 할 필요성을 조지에 대한 호기심을 통해 조심스레 제안하는 모습이 큰 배움이었습니다. 어떻게 보면 당연한 건데 자문했을 때 답이 바로 안 나오고 '여기서 뭘 더 해야 하지?' 라고 스스로에게 .. 2021. 7. 24.
[20주차] Disorders of Personality: 20. Mistrustful Styles, Paranoid Types, Paraphrenic Disorders: The MPP Spectrum(pp. 958-962) 현대적 제안에서 Blum은 프로이트와 달리 호모섹슈얼 충동에 대한 방어가 아니라 생애 초기의 실제적 위협이 MPP의 토대가 된다고 말하면서 마가렛 말러를 인용합니다. 대상표상에 관한 내용이 나오는 것을 보면 실제적인 사건을 의미하는 게 아니라 아동 마음 속의 주관적 실제를 의미하는 것인가 생각해 봤고요. 아마도 이게 더 설득력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봤어요. 엄빠가 보통으로 키웠어도 아동 기질과 뭔가 케미가 안 맞아서 inconstant object가 형성될 수도 있으니까요. Stone(1993)은 MPP에서 핵심적인 요소는 아니지만 MPP 특성 중 하나로서 grandiosity를 말합니다. 명시적으로 드러난다기보다 은밀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보통 스스로가 취약하다고 느끼는 만큼 과대성이 나타나기 쉬우니 그.. 2021. 7. 23.
[19주차] Disorders of Personality: 20. Mistrustful Styles, Paranoid Types, Paraphrenic Disorders: The MPP Spectrum(pp. 953-957) MPP의 주요 성격 특징이 경직성으로 설명되고 있고, 자신의 신념을 경직되게 고수하는 과정에서 현실과의 접점을 점점 상실하게 된다는 점에서 판타지에 몰두된 자기애성과도 공통점이 있다고 느꼈어요. 역사적 선구자에서는 크레펠린이 중요하게 다뤄지는데, 크레펠린이 이론을 단순화하는 과정에서 성격의 황폐화가 극에 달하면 모두 dementia praecox로 볼 수 있다고 말했지만 초기에는 그도 편집증적 성격의 황폐화 단계인 paraphrenia와 dementia praecox를 구분해야 한다고 봤고, 저자는 이 관점에 동의하고 있네요. modern formulations에서 프로이트가 편집증을 가학피학성과 연결짓는 부분은 그럴 수도 있겠다 싶으면서도 이게 과연 임상적으로 환자를 치료하는 데 얼마나 유용할까 의문이.. 2021. 7.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