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23

Social Cognition as a Mediator Variable Between Neurocognition and Functional Outcome in Schizophrenia(2011) Schizophr Bull. 2011 Sep;37 Suppl 2:S41-54. doi: 10.1093/schbul/sbr079.Social cognition as a mediator variable between neurocognition and functional outcome in schizophrenia: empirical review and new result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chmidt SJ, Mueller DR, Roder V.SourceUniversity Hospital of Psychiatry, University of Bern, Bolligenstrasse 111, 3000 Bern 60, Switzerland. stefanie.schmidt@.. 2013. 4. 26.
자살 시도와 자살 제스쳐를 구분할 필요가 있는가? 없다. 뿐만 아니라 구분해서는 안 된다. 자살 제스쳐, 즉 의사소통 수단으로서의 자기파괴적 행동이 죽음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의사소통 목적이 성공하지 못할 경우 보다 심각한 자살 시도가 뒤따를 수 있기 때문이다. 자살 제스처와 자살 시도 간의 구분은 다소 임의적인 것이며, 대부분의 자살 시도들은 자기-파괴적인 목적뿐만 아니라 의사소통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다. 임상실제에서의 정신과 면담, 258쪽.오늘 수퍼비전 받은 내용에 근거하여 번역을 좀 바꿈. 원문은 참고 X 2013. 4. 19.
편집-분열 위상과 우울 위상 편집-분열 위상(paranoid-schizoid position): 죽음에 대한 영아의 원초적 공포 -> 공포에 대항하는 한 방법으로 자아가 분열 -> 죽음의 본능이나 악함(badness)으로부터의 공격성을 부인하고 이들을 어머니에게 투사 -> 박해 공포 발생 우울 위상: 어머니에게 투사된 공격성을 제어하고 극복하기 위해 재함입 -> 동시에 현재 자신의 내부에 남아 있는 선을 재함입된 공격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선을 외부로 투사 -> 투사와 함입의 이러한 지속적 반복은 선한 어머니와 악한 어머니가 실제로 다른 존재가 아니고 동일인이라는 사실을 알게 될 때까지 계속됨. 통합 과정에서 영아는 자신의 가학적이고 파괴적인 환상들이 어머니를 파괴시킬지도 모른다는 생각 때문에 혼란스러워짐(depressive a.. 2013. 4. 19.
연극성 성격장애의 주요 방어기제 친밀한 사랑에 대한 정상적 소망의 억압은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유혹적인 행동을 통해 복귀(성애화)하게 되어 있음. (혹은 신체화 MMPI 1번 혹은 3번 상승) + 퇴행. 억압된 성적 충동은 막연한 불안감을 느끼게 만드는데, 불안을 느낄 때, 거부당할까봐 두려울 때, 혹은 무의식적 죄책감과 공포심을 자극하는 위협에 직면할 때 이들은 무기력한 어린아이 같은 모습으로 잠재적인 거부자와 학대자를 무장해제시켜서 곤경을 피하려 시도함(스톡홀름 증후군도 같은 맥락). + 해리. 무의식적 불안, 수치심, 죄책감을 넘치도록 가지고 있으며, 아마 기질적으로도 과도하게 자극을 받는 것 같음. 그래서 한 번에 처리해야 할 정서적 정보의 양을 줄이기 위해 해리 기제를 자주 사용. 해리의 일환으로 denial & isolati.. 2013. 4. 19.
올림픽공원 아아.. 여기 말로 표현하기 싫을 만큼 좋았다. 눈에 들어오는 장면 하나하나가 이루 말할 수 없이 아름다웠다. 잔디도 꽃도 호수도.. 전쟁터 같은 병원을 벗어나서 그런가 더 평온하게 느껴졌다. 아쉬운 맘에 레오 까락스 영화도 한 편 봤는데.. 넘 아스트랄해서뤼.. 좀 벙쪘다. 암튼 함께 갔던 친구가 상황이 많이 힘든 모양인데, 오늘 나처럼 에너지 충전이 좀 됐을까 모르겠다. 간만에 말 통하는 친구랑 신나게 수다도 떨고, 집에 가는 길인데 기분 좋게 뻗을 듯. 2013. 4. 13.
김애란 김애란 소설을 읽고 있으면 아.. 이건 내 얘긴데 하는 순간들이 있다. 그래서 더 몰입하게 된다. 직접 가난을 겪어보지 않고도 이런 글을 쓸 수 있을까? 왠지 본인이 다 경험해 본 얘기들을 그냥 써 내려가는 거 같다. 그래서 더 공감되고. 아무튼 탁월한 소설가임에 분명하다. 샤워기를 틀자 쏴아-하고 뜨거운 물이 쏟아져 내린다. 그녀는 문득, 자신이 돈을 벌고 있다는 사실에 안도하는 순간은 바로 이런 때가 아닐까 생각한다. 수도요금을 지불할 수 있다는 것, 샤워기 아래서 그것을 아주 사실적이고 감각적으로 깨달을 수 있다는 것, 2013. 4. 12.
정신분열병에서 인지적 손상이 부차적 특질이 아닌 core feature인 근거 1. 많은 환자들이 정신병적 증상 발생 전에 인지적 혹은 지적 장해를 나타냄.2. 정신분열병 환자의 일촌 중 정신과적인 질병을 갖지 않은 사람들에게서 인지적 장해가 관찰될 수 있음.3. 임상 양상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인지적 장해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함4. 상관 연구는 인지적 수행과 정신병적 증상간의 약한 상관만을 발견.5. 항정신병 약물은 cognition보다 정신분열병 환자의 양성 증상에 훨씬 더 큰 효과를 미침. 따라서 인지적 장해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 시스템과는 다른 신경 시스템에 작용하는 것일 수 있음. Oxford Textbook of Psychopathology, 309쪽. + 정신증으로 인해 인지가 손상되는 것이라 생각할 수 있는데 책을 읽어 보면 오히려 그 반대에 가까운 것 같.. 2013. 4. 12.
VRIN VRIN : 80 이상은 무효. 65-79는 유효하지만 일부 비일관적 반응 개입. 이유 1. 무성의하거나 비협조적일 때 이유 2. Greene(1991) says "Seriously thought-disturbed individuals suca as those obtaining the 86 or 68 profile(e.g., 정신분열병 환자) are likely to have difficulty maintaining the consistent set that normals have during testing(Psychological assessment with the MMPI-2, 31쪽). 2013. 4. 11.
Schizophrenia의 어원 schizo는 '분열되다', '파괴되다'를 의미하고 phren은 '지능'이나 '마음' 혹은 정서에 연관된다고 고대인들이 믿었던 폐와 횡경막을 가리킨다. 따라서 schizophrenia의 문자적인 의미는 마음이나 정서적 안정성의 분리 혹은 파괴인 것이다. Oxford Textbook of Psychopathology, 299쪽. 2013. 4. 8.
자기애성 인격장애의 역동 자기애성 환자들은 자존감의 조절 소재가 외부에 있다. 즉 타인의 칭찬과 찬사를 통해서만 자존감을 유지할 수 있고, 자존감이 위협 받는 상황에서 스스로를 위로하지 못한다. 더욱이 그런 상황에서 '나쁜 자기'를 분열시키고 부인하는 동시에 취약함에 맞서기 위해 과대적 자기상을 강화하게 된다. 주변 인물들은 이 과대적 자기상을 강화하기 위한 '자기대상'에 지나지 않게 되며, 과대적 자기상에 손상이라도 가할라 치면 그 즉시 나쁜 자기가 투사되어 자기대상은 평가절하된다. 코헛은 부모의 공감 결여가 이 모든 기제의 기원이라고 보았고, 컨버그는 아동에 대한 부모의 평가절하가 기원이라고 보았는데, 후자에서 강조하고 있는 바는 실제 부모의 평가절하라기보다 부모이미지를 평가절하하는 유아의 과도한 공격적 욕동이라고 한다. 말.. 2013. 4.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