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임상심리학508 임상심리 대학원을 희망하는 학생들을 위해 대학원 진학을 위해 어떤 식으로 공부해야 하냐고 물어보는 분들이 한두 분 계셔서 그 분들에게 몇 년 전에 했던 답변을 블로그에 옮겨 봅니다. Good Luck~! 1. 뭘 공부하고, 어떤 책으로 어떻게 공부하나요? Atkinson & Hilgard's Introduction to Psychology, 15th Edition Susan Nolen-Hoeksema/Barbara Fredrickson/Geoffrey Loftus/Willem Wagenaar | Cengage Learning 마이어스의 심리학 David G. Myers / 신현정 김비아 역 / 시그마프레스 임상심리학 Timothy J. Trull 저/권정혜,강연욱 등 역 | 시그마프레스 현대 이상심리학 권석만 저 / 학지사 저 같은 경우 세 명.. 2013. 5. 15. 인지치료에서 자동적 사고 수정 시 주로 사용되는 3가지 질문 1. 증거가 있나? 2. 다른 식으로 생각해 볼 수 없겠는가? 3. 그게 사실이라 하더라도 진정한 의미가 무엇인가? so what? 2013. 5. 12. SCZI & PTI 두 특수지표 모두 엑스너가 만든 것인데, SCZI의 오긍정률이 높아서(특히 아동에서) 대안으로 개발된 것이 PTI라고 한다. PTI는 SCZI처럼 절단점이 따로 없고, 점수가 높을수록 인지적 중재 및 관념화의 어려움이 있을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PTI는 정신분열증이나 정동장애 모두에서 상승할 수 있는데, 정동장애에서 4점 이상은 잘 올라가지 않는 것 같다(엑스너 종합체계, 528쪽 참고). 아래는 PTI 관련하여 엑스너 책에 레퍼런스로 달려 있는 논문으로, 사고장애를 보이는 아동과 그렇지 않은 아동을 구분하는 데 있어 PTI의 타당성을 입증했다. J Pers Assess. 2001 Dec;77(3):447-63.Assessment of disordered thinking in children a.. 2013. 5. 10. 심리치료자의 역할 진단을 기민하게 잘했건 못했건 간에, 치료자는 결국 치료의 첫 번째 과제가 환자가 끊임없이 만드는 폭풍우를 그저 견뎌 내는 일이며, 또한 고통을 겪으면서도 도움받기를 거부하는 이 사람이 그동안 경험해 왔던 것과는 다른 어떤 것을 느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는 일임을 알게 된다. 정신분석적 진단, 98쪽. 어제부로 일주일에 한 번 두 명을 상담하게 됐다. 이렇게 빨리 상담하게 될 거라곤 상상도 안 했는데.. 막막하다. 어쨌든지 간에 내담자나 나나 모두가 성장하는 계기가 될 수 있었으면 좋겠다. 기도할 일이 많아질 것 같다. 2013. 5. 10. 경계선과 정신병 감별 경계선 환자들은 자신의 정신병리를 가차 없이 부인할 수 있지만, 그러면서도 무엇이 현실인지 혹은 관습적인지에 대해 일정 수준의 분별력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정신병 환자와 구분됨. Kernberg는 경계선과 정신병을 감별진단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자기표현에서 어딘가 좀 특이한 점을 찾아내서 이를 언급하고 다른 사람들이 그것을 이상하게 볼 수 있다는 것을 아는지 물어보라고 조언한다. 정신분석적 진단, 96쪽. 2013. 5. 10. Simple Schizophrenia 진단기준 A. Progressive development over a period of at least a year of all of the following: (1) marked decline in occupational or academic functioning (2) gradual appearance and deepening of negative symptoms such as affective flattening, alogia, and avolition (3) poor interpersonal rapport, social isolation, or social withdrawal B. Criterion A for schizophrenia has never been met. C. The symptoms.. 2013. 5. 1. 경조증 성격 대 강박행동적 성격 둘 모두 야심만만하고 요구가 많다. but 1. 경조증적인 사람과 달리 강박행동적인 사람은 깊이 있는 대인관계를 맺을 수 있다. 반대로 경조증적인 사람은 대인관계에서 과장된 모습을 보이고,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을 좋아하고 우호적인 관계를 쉽게 맺지만, 상대방에 대한 관심을 쉽게 잃어버린다. 2. 강박행동적인 사람은 세부사항을 중시하지만, 경조증적인 사람은 아무 생각 없이 이를 무시한다. 정신분석적 진단, 362-363쪽. 2013. 5. 1. 가설로서의 진단 교과서에 딱 들어 맞는 환자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런 환자가 있다면 내가 지금 교과서에 그 사람을 끼워 맞추려고 하는 건 아닌지 곰곰 생각해 봐야 하는 것 아닐까 싶다 마찬가지로 DSM 진단에 딱 들어 맞는 사람도 없다. 외현적으로는 들어 맞아도 뭔가 다른 문제'들'이나 역동이 기저에 깔려 있게 마련인 것 같다.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onset이 언제고 경과가 어떤지 차트 리뷰를 꼼꼼하게 할 필요가 있다 하더라도, 단 한 번의 심리평가로 한 사람을 범주화하는 것에는 무리가 따를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흔히 쓰레기통 진단으로 취급되는 NOS(성격장애에선 Borderline)나 R/O 등으로 진단이 나간다 해서 이렇게 진단 내릴 거면 진단 왜 하냐는 식으로 폄하하는 것은 억지라고 생각한다. 어.. 2013. 4. 27. 강박성 성격 대 자기애성 성격 - 강박성 성격은 공허하다기보다 화가 나 있다. - 자기애성 성격에서 강박적 특징이 나타날 수 있지만 이는 죄책감보다 수치심에 더 많이 기반한다. - 둘 다 자신이 성취하고 있는 것에 기초해서 자기 자신을 좋게 느끼지만, 강박적인 사람들이 성취를 위해 기꺼이 노력하는 데 반해 자기애적인 사람들은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대한 많은 인정을 받으려 한다. - 둘 다 성취가 어려운 환경에서 우울해진다. 하지만 죄책감에 사로잡힌 유형의 강박적 내담자들이 겪는 우울은 본질적으로 자기애적인 내담자들이 겪는 우울에 비해 훨씬 더 멜랑콜릭하다. 2013. 4. 26. 정신분석적 심리 진단의 포괄적 차원 중심 주제: 안전감, 자율성, 정체성특징적인 불안 경험: 소멸 불안, 분리 불안, 상해나 통제 상실과 같은 보다 구체적인 두려움발달상의 일차적 갈등: 공생적, 분리-개별화, 오이디푸스적대상관계 능력: 일원적, 이원적, 삼원적자기감각: 압도되어 있는가, 싸울 태세인가, 책임을 느끼는가 정신분석적 진단, 100쪽. 2013. 4. 26. 이전 1 ··· 43 44 45 46 47 48 49 ··· 5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