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24 [심리학 영어 콘텐츠 요약 뉴스레터 #14] 좋은 사과와 좋은 대화의 공통점은 사과의 심리학 Healing 2.0: The Power of Apologies | Hidden Brain Media 자신이 누군가에게 상처 주었다는 것을 인지하였고 사과의 필요성도 느끼지만, 실제로 사과하는 것은 꽤나 어려운 일입니다. 특히 양육 과정에서 부모로서 후회되는 일을 할 때가 있습니다. 별것도 아닌 일에 정도 이상으로 화를 낸다던가 하는 일이 그렇습니다. 이때, 아이에게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하는 때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때가 더 많은 게 사실입니다. 부끄럽지만 그렇습니다. 이 에피소드에서는 사과하는 게 왜 이렇게 어려운지 그 이유를 살피며 시작합니다. 인터뷰이로 출연한 Tyler Okimoto는 사과하는 사람보다 사과하기를 거부하는 사람의 자존감이 덜 손상됨을 언급합니다.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 2023. 12. 24. My 2023 Annual Review What went well this year? 낮 동안에 일하느라 힘들었으니까 오늘 저녁은 한 번도 안 가본 곳에 간다거나 그런 게 우리는 행복이라고 생각하는데, 저는 습관 부분에서 재미를 느껴야 한다고 생각해요. 나머지는 오히려 쩔쩔매는 시간이에요. 뭘 해야 할지 잘 모르겠는거죠. 그런데 패턴화되어 있는, 습관화된 부분이 행복한 사람이 있다고 해보세요. 그러면 그 인생은 너무 행복한 거죠. - 언어공부 영어 올 한해도 날마다 영어공부를 했습니다. 작년에 비해 스피킹이나 라이팅은 현저히 줄었지만, 그래도 스피킹을 꾸준히 했다는 데 의의를 둡니다. 스피킹 매트릭스 1분 말하기부터 3분 말하기까지 1년 8개월에 걸친 대장정을 10월경에 매듭짓기도 했습니다. 올해는 리스닝에 푹 빠져서 누.. 2023. 12. 14. [심리학 영어 콘텐츠 요약 뉴스레터 #13] 애덤 그랜트 특집 : 효과적 학습과 비판적 사고 효과적으로 배우고 성장하는 법 World Leading Psychologist ON Why You’re FAILING and Why Discomfort Will UNLOCK Success | Adam Grant - YouTube 기브 앤 테이크, 오리지널스, 싱크 어게인 등으로 유명한 조직 심리학자 애덤 그랜트가 출연한 팟캐스트 에피소드입니다. 한 달 전에 신간 Hidden Potential: The Science of Achieving Greater Things가 출판되어 활발히 프로모션 중인 것 같습니다. 에피소드 내용을 들어보면 '효과적으로 배우고 성장하는 법'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룹니다. 자기계발러라면 귀기울여 볼 만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그 중 몇 가지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유튜브 제목에서.. 2023. 12. 11. 자기 관점의 확장자는 pdf가 아니라 docx로 자신의 현재 관점을 벗어나기 어려운 보편적 경향성 우리는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지 않고 항상 재구성해서 지각합니다. 다른 사람도 내가 생각하는 것, 내가 느끼는 것과 비슷하게 상황을 보고 있을 것이라는 생각은 이런 재구성의 산물입니다. 나이가 어린 아이들은 자기가 보는 걸 다른 사람도 똑같이 볼 것이라고 생각하고, 관점 전환이 잘 되지 않습니다. 아이들만 그런 게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이런 경향은 죽을 때까지 지속되고, 관점 전환을 위해서는 상당한 에너지가 들어가기 때문에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누구나 자기 관점에서 세상을 보는 자기중심적 시각이 우세하기 쉽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사물에 대한 우리의 주관적 느낌과 그 사물의 객관적 속성을 동일시하는 경향성은 평생 자발적으로 자연스럽게 나타난다고 한다... 2023. 12. 10. 23년 11월 영어 공부 11월 공부 목표 달성 여부 심리학 영어 콘텐츠 선별하여 요약하는 심리학 뉴스레터 격주로 발행하기 완료 리딩 825분 동안 293쪽 읽었습니다. 하루에 대략 28분 읽었습니다. 10회차 뉴스레터의 한 가지 주제이기도 했던 Grace Lordan 박사의 Think Big을 읽고 있습니다. 35% 정도 읽었는데 익숙한 내용이 이어져서 흥미가 떨어지네요. 그만 읽을까 생각 중입니다. 가족치료사 Terrence Real의 US는 5% 정도 읽었습니다. Psychodynamic Psychotherapy - Deborah L Cabaniss와 Motivational Interviewing (4th edition)을 꾸준히 읽었습니다. 스피킹 파워 잉글리시 듣고 주 2회 말하기 연습한 것 인증하고 있습니다. 리스닝 .. 2023. 11. 30. 근시안적으로 살아가도 괜찮아 퓨처 셀프 오늘 우연히 서점을 지나다가 올해 8월 초 완독한 원서 Be Your Future Self Now가 퓨처 셀프란 제목으로 출판된 것을 보고 반가운 마음이 들었습니다. 이 책에서 제가 영감을 받은 부분은, 협소한 현재 시각으로 퓨처 셀프를 재단하지 말고 큰 포부를 갖되, 그 포부를 실현하는 데 연관되는 작은 실천을 매일 하라는 조언입니다. 예를 들어, 작가가 되겠다는 원대한 포부가 있다 하더라도 매일의 실천은 '하루 200 단어 쓰기’로 실천 가능하게 잡으라는 것이죠.[1] 이 책뿐만 아니라 Think Big을 쓴 Grace Lordan도 정확하게 같은 얘기를 합니다. 꿈은 크게, 실천은 매일 지속 가능한 수준으로 작게. 이 두 책의 조언에 따라 10년 후, 5년 후 목표를 각각 세워보고, 그 .. 2023. 11. 23. 할 일을 하게 만드는 불안 활용법 예측하는 것(forecast)은 공포를 내다보는 일(fearcast)이 될 수 있지만, 이때의 목적은 미래의 예측보다는 특정한 모습의 미래를 예방하는 데 있다. (중략) 한마디로 말해 가끔 우리는 스스로 정신을 차리도록 하기 위해 어두운 미래를 그려보기도 하는 것이다. -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에서 발췌 최악의 상황을 그려보는 것은 미래를 대비하게 하는 좋은 자극입니다. 다만 최악의 상황을 상상하며 불안해 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실제로 예방적인 행동을 하는 것이 중요할 텐데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최악의 상황을 대비하는 데 도움이 된다면 어떤 행동이라도 일단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작고 사소한 행동일수록 거부감이 덜 들고 행동 가능성은 높아지기 때문에, 기왕이면 사소한 행동에서부터 시작.. 2023. 11. 16. [심리학 영어 콘텐츠 요약 뉴스레터 #12] 개인의 질병이 아닌 사회적 질병으로서의 우울증 개인의 질병이 아닌 사회적 질병으로서의 우울증 This could be why you’re depressed or anxious | Johann Hari - YouTube 요한 하리의 2019년 7월 테드톡입니다. 유튜브 조회수가 1000만을 넘겼네요. 사람들은 왜 이 영상에 많은 관심을 보인 걸까요. 궁금해서 시청했습니다. 우울증을 경험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많은 이론이 있지만, 생물심리사회 모델(Biopsychosocial Model)이 가장 균형 잡힌 시각을 제시하는 것 같습니다. 우울증은 뇌의 화학적 불균형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심리적 문제이기도 하고 사회적 문제이기도 합니다. 특히 우울증이 뇌의 문제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이미 오래 전부터 논의되어 온 주제이고, 약물치료 중심으로 트레이닝 받는.. 2023. 11. 13. [심리학 영어 콘텐츠 요약 뉴스레터 #11]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체계적 비합리성과 억압된 감정이 각각 우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 행동경제학자도 피해갈 수 없는 체계적 비합리성의 함정 Follow the Anomalies | Hidden Brain 국내에서 넛지라는 책으로 널리 이름을 알린 리처드 탈러가 인터뷰이로 등판한 히든 브레인 에피소드입니다. 2017년에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행동경제학자이기도 하고요. 이 에피소드를 들어보면, 탈러가 주로 연구하는 분야는 의사결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체계적인 편향인 것 같습니다. 말이 어렵죠. 2차 세계 대전 이후 경제학자들은 합리적으로 의사결정하는 인간을 경제학 이론의 대전제로 삼아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하지만 1970년대부터 인간이 지닌 비합리적 의사결정에도 연구의 초점이 맞춰지기 시작합니다. 당시에는 마이너한 분야였고, 그 선봉에는 2002년에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아모스 트버스키와 대니.. 2023. 11. 9. [심리학 영어 콘텐츠 요약 뉴스레터 #10] 커리어의 방향을 잡는 법: 행동과학자의 팁 내 커리어 이대로 괜찮은 걸까? : 결과 중심이 아닌 과정 중심의 커리어 빌딩 How To Build Career Success - Behavioural Scientist Dr Grace Lordan - YouTube [!summary] Grace Lordan 박사의 조언에 따르면 커리어에서 목표 설정은 중요하지만 결과 중심이 아닌 과정 중심 목표여야 합니다. 즉, 특정 직업을 얻기 위해 분투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의 내가 원할 법한 일을 오늘 하루 실천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일례로 작가가 되고 싶다면 매일 몇 분만이라도 글을 써야 하겠죠. 미래의 내가 어떤 모습이었으면 하는지 잘 그려지지 않는다면 일단 의미 있거나 즐거움을 주는 일의 빈도를 늘려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Lordan은 매주 일요.. 2023. 11. 9. 이전 1 ··· 3 4 5 6 7 8 9 ··· 193 다음 반응형